PGR21.com 배너 1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4/06 23:00:20
Name 아우구스투스
Subject [일반] 적극투표층 다시 계산했습니다. (수정됨)
이전에 올린 선관위 투표율 관련 글에 치명적 오류가 있었습니다.
선관위는 매 선거마다 여론조사를 시행하는 기관을 바꾸고 그래서 16년과 올해 투표율 조사 기관이 다르단거죠.

그래서 말도 안되게 높은 적극투표참여율이 나온거라고 봅니다.

그래서 가장 제대로된 예측을 위해서 동일 기관의 비슷한 시기의 투표율과 비교하겠습니다.

아마도 보수계열정당 지지자분들께 상당히 기분 좋은 결과일겁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갤럽의 16년 총선 투표의향 여론조사 결과
19~29세 62%
30대 70%
40대 72%
50대 76%
60대 이상 79%
전체 72%

1. 조사의뢰자 갤럽 자체조사
2. 조사기관 갤럽
3. 조사일시 2016년 3월 29~31일
4.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20대 총선 -> 21대 총선 적극투표층 비교
19~29세 62% -> 52.8%
30대 70% -> 71.3%
40대 72% -> 77.0%
50대 76% -> 73.8%
60대 이상 79% -> 83.2%
전체 72% -> 72.7%

20대 총선 연령별 투표율 비교
19세 53.5%
20대 52.7%
30대 50.5%
40대 54.3%
50대 60.8%
60대 71.7%
70대 73.3%
80세 이상 48.5%

19세는 20대와 별 차이가 없으니 두고, 60세 이상은 각각 50%, 35% 15%로 나누어 계산시 약 68.8%가 나오게 됩니다.

20대 총선 적극투표층과 실제 투표율 비교시
19~29세 62% --> 52.7% [- 9.3%]
30대 70% -> 50.5% [- 19.5%]
40대 72% -> 54.3% [- 17.7%]
50대 76% -> 60.8% [- 15.2%]
60대 이상 79% -> 68.8% [- 10.2%]
전체 72% -> 58.0% [- 14%]

이걸 21대에 대입시
18~29세 52.8% - 9.3% = [43.5%]
30대 71.3% - 19.5% = [51.8%]
40대 77.0% - 17.7% = [59.3%]
50대 73.8% - 15.2% = [58.1%]
60대 이상 83.2% - 10.2% = [73.0%]
전체 72.7% - 14% = [58.7%]

1. 조사의뢰자 선관위
2. 조사기관 갤럽
3. 조사일시 2020년 3월 23~24일
4.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18~29세 라인은 상당히 충격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네요.
30대와 50대는 지난 선거와 비슷, 40대와 60대 이상은 대략 5%정도 상승이 예상되네요.

이렇게 될 경우 기존의 예상보다 미래통합당은 좋아진 반면 민주당은 평타정도라 봐야죠.

어느정도는 예상을 수정해야할듯 하네요.

의석을 예상할때도 이 수치를 필수적으로 머릿속에 둬야죠.

왜 많은 전문가들이 지금의 여론조사에도 엇비슷한 의석수 예상하는지, 유선비율을 꽤 섞는 이유를 알 수 있네요.

이 상태라면 약 3% 아래의 접전 지역은 오차범위 안에서 미통당 약우세, 5%까지는 미통당 오차범위내 약세, 7%가 되어야 확실히 약세라 볼 수 있지 않을까 봅니다.

샤이보수보다는 이게 수치적으로 더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이며 변수가 될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ownTeamisDown
20/04/06 23:08
수정 아이콘
결국 변수라면 4년이라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의향이 어떻게 변했고 투표를 할것인가가 실제 변수긴 하겠지만 유선반영비율을 그래서 올리나요?
아우구스투스
20/04/06 23:18
수정 아이콘
올릴 수 있지만 솔직히 유선전화 보급율 감안했을때 큰도시권에서 10% 이상 중소도시권에서 20% 이상, 시골에서도 30% 이상 올리는 건 표본을 대놓고 오염시겠다는거나 다름없기에 개인적으로는 저 이상 올라갈 경우에는 샤이 이런거없이 민주당에 조금이라도 가산점 줍니다.
DownTeamisDown
20/04/06 23: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60대 이상의 경우 3월인구와 4월인구를 평균낸다음에 구해보니 68.8%가 나옵니다.
실제로 80대 이상이 60대 이상인구의 대략 15%쯤 되서 아주 무시할만큼의 비중은 아닙니다.(그리고 투표율이 무진장 낮고요)
그렇다면 그걸 반영해서 계산하셔야할 것 같습니다.
19-29세는 같은공식으로 52.8%라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아우구스투스
20/04/06 23:37
수정 아이콘
그렇게 계산할 경우에 60대와 70대는 비슷한 숫자라 보고 비율대로 가서 68.9%의 투표율이 나오는데 유의미한 차이긴 하네요.
DownTeamisDown
20/04/06 23:54
수정 아이콘
대략 60대가 50% 70대가 35% 80대 이상이 15% 정도 됩니다.
아우구스투스
20/04/07 00:06
수정 아이콘
아주 미묘하게 떨어지긴 하는데 계산해보니 68.78%가 나오는군요
홍준표
20/04/06 23:21
수정 아이콘
20대 투표율이 낮은 것이 어느 쪽으로 유리할지는 알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남-여 정치성향이 워낙 다른데 투표의향이 어느쪽에서 빠진걸까요? 20남/20여 따로 공개되진 않은 것 같은데, 직관적으로는 젠더이슈 등으로 인해 정치효능감이 극악으로 낮아진 20남의 투표의향이 낮아졌다는 가설이 있고 이 가설이 참이라면 20대의 투표율 낮아진 것이 야당에 꼭 호재라고 볼 수는 없겠죠.
아우구스투스
20/04/06 23:40
수정 아이콘
20대 총선 당시에는 상당히 격차가 있게 민주당 우세로 기억하기에 어떤 수치가 되었던 빠졌기에 민주당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합니다.
불타는펭귄
20/04/06 23:44
수정 아이콘
20~30 여성의 투표 참여율은 높고 남성은 떨어질 겁니다.
40대 여성은 아이 때문에 선거장 가기가 꺼려져서 남성보다 낮을 걸로 예상됩니다.
70대는 슬슬 기저질환이 한가지는 생길 나이셔서 투표율이 다소 하락할겁니다.
대신 60대는 방역이 지금처럼 유지될수록 투표율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우구스투스
20/04/06 23:58
수정 아이콘
전반적으로 연령별 투표율 자체는 미통당에게 웃어줄겁니다.
20/04/06 23:55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현재 여론조사는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이상을 세대별로 동수만큼 똑같이 조사하나요?
투표참여율 고려해서 60대는 좀 더 조사하고 20대는 들 조사하고 그런게 아니었나요?
아우구스투스
20/04/06 23:59
수정 아이콘
세대별 지역의 인구 구조를 바탕으로 조사수 세팅합니다.
뒤에 말씀하신건 적용시 불법이 되어서 안되긴 하고요.
어느새아재
20/04/07 00:40
수정 아이콘
아니 이분들이 코로나때문에 심심하신가 여론조사기관 긴장하라고 이러시나 웬 전문 통계 글들이 넘치네요.
아우구스투스
20/04/07 00:45
수정 아이콘
전문 통계는 다른 분들이 쓰시는 거고 저는 덧셈, 뺄셈에 곱셈 겨우 익힌 수준입니다.

그것과 별개로 지난 선거들에서는 렙업되어서 못 올렸을 뿐 이런거 좋아해서 혼자 엑셀파일 만들고 했었는데 그때 못 올렸던건 아쉽긴 하긴 하네요.
사악군
20/04/07 09:35
수정 아이콘
18-29라인 투표율이 낮은건 별로 유불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3040 투표율이 높은게 여당에게 웃어주는 요소가 되겠죠.
DownTeamisDown
20/04/07 09:53
수정 아이콘
18-29가 높고낮은것보다 30-40이 저렇게 응답하는거대비 투표율이 안나오는 측면이 있어서 실제투표율을 봐야하고
60대 이상이 어마어마하게 높다는것이 봐야할 사항이죠
다만 60대와 70대를 쪼개봐야하는게 60대도 지역이나 여러가지 변수에따라 진보/보수가 갈립니다.
그래서 기존에비해서 60대가 보수적이지가 않은것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있고 해서
88.1%가나온 60대와 82.9%가나온 70대 이상수치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합니다.
저렇게 높은 60대가 어디로 찍을지... 60대도 어떤지역에서는 스윙이 된다는게..
아우구스투스
20/04/07 10:01
수정 아이콘
30대가 특히 답변 대비해 실투표율이 낮은데 지금은 시국이 시국이니만큼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는 힘들죠.
20/04/07 11:03
수정 아이콘
이게 4년이 지날때마다 민주당을 지지하는 50대분들이 계속 60대로 넘어갑니다.
아마 10년 후면 60대도 민주당 지지율이 미래통합당 지지율보다 높을 가능성도 꽤 높아 보입니다.
그때가 되면 민주당을 대항할 새로운 정당이 나오거나 미래통합당이 환골탈태를 했으면 싶은데 둘다 현재로선 뾰족히 답이 안 보이네요.
아우구스투스
20/04/07 09:59
수정 아이콘
지금에서야 20대가 민주당 지지율 낮다고하지만 지난총선에는 아니었으며 아무리 낮아도 미통당보다 높죠.
사악군
20/04/07 10:39
수정 아이콘
그냥 전체적으로도 민주당 지지율이 미통당보다 훨씬 높죠. 20대의 분포는 남녀의 성향이 갈려서 그렇지
결국 20대 통으로 놓고 보면 전체 지지율과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이 라인의 투표율은
어느쪽에도 유불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01 [일반] 원유철 '핑크가발' 때아닌 퀴어 논란···황교안 "꼭 써야하나" [45] MiracleKid6832 20/04/09 6832
4700 [일반] 데일리 막말 - 미래통합당 주동식 후보 [98] 유료도로당8841 20/04/09 8841
4699 [일반] 같은 주제, 다른 초점 [21] 츠라빈스카야4984 20/04/09 4984
4698 [일반] 강원도 국회의원 여론조사 결과(4.4~4.7) [62] 물멱7588 20/04/09 7588
4697 [일반] 정경심 교수의 재판 근황 [478] 파란마늘15028 20/04/09 15028
4695 [일반] 2020년 4월 15일 총선 지역구 정보 정리와 가벼운 예측 광주/전라북도/전라남도편 [7] 뿡빵뿡빵5244 20/04/08 5244
4694 [일반] 미래통합당이 기대하는 두가지 카드를 이미 깟죠 [37] 능숙한문제해결사9057 20/04/08 9057
4693 [일반] 광진을 오세훈 후보가 고민정 후보를 선거법 위반으로 고발하였습니다. [31] 미뉴잇8561 20/04/08 8561
4692 [일반] 결국 김종인이 몸빵하네요 [47] 로빈9654 20/04/08 9654
4691 [일반] 4월 7일 여론조사입니다. (스크롤압박 데이터주의) [58] DownTeamisDown11508 20/04/08 11508
4690 [일반] 황교안 "정부 코로나팔이 하고있어" [122] 무우도사11612 20/04/08 11612
4688 [일반] 차명진 후보가 두번째로 제명될 것 같네요 [116] 센터내꼬야12340 20/04/08 12340
4687 [일반] 사퇴하세요 이은재 의원 근황 [28] 손금불산입8246 20/04/08 8246
4686 [일반] 미래통합당 후보 지지영상에 나온 이국종 [22] 사악군7384 20/04/08 7384
4685 [일반] 중국사이트에 올라온 '文 응원' 국민청원…"中, 한국여론에 개입 의혹" [85] GRANDFATHER__12176 20/04/07 12176
4684 [일반] 통합당 제명 결정에 김대호 반발 "재심 신청하겠다" [28] 빨간당근6120 20/04/08 6120
4683 [일반] 리그 오브 금뺏지 - 미드편 [9] 빨간당근4561 20/04/08 4561
4682 [일반] 2020년 4월 15일 총선 지역구 정보 정리와 가벼운 예측 부산/대구/울산편 [24] 뿡빵뿡빵7689 20/04/07 7689
4679 [일반] [인터뷰]"정권심판론 바람 타고 통합당 140~145석 충분히 가능" [52] 청자켓8704 20/04/07 8704
4678 [일반] 다들 투표는 하시죠??? [35] SSeri5133 20/04/07 5133
4677 [일반] 여론조사가 정말 맞는건가요? 이른바 바닥민심이라는 것에 대하여 [69] bifrost13279 20/04/07 13279
4676 [일반] 정동영, 이제 그만 하시죠 [49] 로빈7382 20/04/07 7382
4675 [일반] 4월 6일 여론조사 [62] DownTeamisDown8894 20/04/07 88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