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0/13 04:19:42
Name 암드맨
Subject [LOL] 리퀴드 팬의 오늘 경기 감상 (수정됨)
작년 정말 국제대회 3개 보면서 암걸리는줄 알았습니다.

덥립은 드디어 국제 대회 울렁증을 벗고  대회마다 활약하긴 했는데
팀적으론 재능 합 혹은 멘탈의 한계를 보이면서 지리 멸렬하게 침몰했거든요.


그래서 데려왔습니다. 북미에서 구할수 있는 최고의 미드와 월드 클래스 서폿을요.



경기의 분수령은 임팩트가 너구리를 낚아 챈 순간이었고, 이외에 엑스미시도 엄청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만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깊었던 플레이어는 옌슨입니다. 

진짜 리퀴드 미드가 '쇼메이커+캐니언'이랑 반반 가면서 변수 창출하고, 피지컬로 위험한 상황에서 딜 우겨 넣다니..
작년에 수십번은 더 바랬지만 결코 보지 못한 그런 상황을 오늘 옌슨이 연출했습니다.
작년 국제대회만 가면 진짜 진짜 진짜  답답했거든요.

다른 분들은 몰라도 저는 W -R 로 위험한 딜 박아 넣을때마다 응어리진게 확 풀리는 느낌이었습니다.
역시 미드는 좀 던질지라도 게임을 만들줄 알아야 합니다.


아무튼 오늘 이겼지만  담원은 역시 엄청나게 강한 적수고, IG도 있기에 이 조에서의 미래는 밝다곤 못하지만
작년과 달리 올해는 담원 정도 레벨의 팀 상대로도 실수를 낚아채 멱살을 잡을만한 힘이 생긴걸 확인한 경기 였습니다. 

꿀잠 잘 수 있을꺼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핀폐인
19/10/13 04:24
수정 아이콘
PAID BY STEVE
엑스미시, 너구리 얘기는 이미 많이 나와서 접어두고요,
덥립 카이사 보다가 lwx 카이사 보고 눈 뽑을뻔 했습니다.
암드맨
19/10/13 04:26
수정 아이콘
용쌈에서 덥립이 궁개그 1적립 할때 싸했는데 마지막에 세탁까지 성공하는거 보고 행복해졌습니다.
19/10/13 05:23
수정 아이콘
LWX 카이사는 한번 R키 써서 던졌을때 R키 뽑았어야 크크크
다리기
19/10/13 04:26
수정 아이콘
오늘 르블랑이 캐리했죠. 중요한 포인트마다 견제도 잘하고 한타 때 딜 욱여넣는 것 하며..
19/10/13 04:31
수정 아이콘
그 삼거리 부쉬 빅 하드쓰로잉으로 인해 급격하게 기울긴 했지만
TL의 경기력을 보면 그 쓰로잉이 없었어도 경기시간이 좀더 길어졌을뿐 이기긴 했을꺼 같았습니다.
너무 다들 잘하더라고요.
비역슨
19/10/13 04:51
수정 아이콘
비역슨의 팬이지만, C9만이 항상 롤드컵에서 성과를 내온 바탕에는 젠슨의 존재감이 컸고 다른 북미팀들은 그걸 채우지 못했다고 생각해서
이번 TL도 그런 점에서 기대가 되네요. 이러다가 다음 경기 또 던지고 박살나도 이상할 거 없는 선수지만, 캐리할 판만 확실히 캐리해주면 그것만으로도 조별 통과는 되니까요.

플레이인때도 실패사례가 많았고, 르블랑이 잘하는 미드정글 상대로 활약하는 모습 보이기가 결코 쉽지 않은데
오늘 젠슨 플레이 보면서 역시.. 하는 감탄을 여러번 했네요
딱총새우
19/10/13 05:43
수정 아이콘
제가 기억하는 리퀴드 북미 정복하고 롤드컵와도 초반에 연패하고 후반에 분발하면서 정신승리하고 탈락이였는데, 일단은 승리로 출발해서 기쁘더라구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담원이 밴픽에서 리퀴드를 너무 쉽게 본 것 같아요. 르블랑, 카이사, 갈리오 북미 팀들이 리퀴드 상대할 때 잘 안 줄 것 같은 픽들인데 그냥 내줬죠. 앞으로 경기에서 밴픽으로 타이트하게 견제할 때 리퀴드가 실력 발휘 할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19/10/13 06:05
수정 아이콘
불판에서 너구리 얘기가 많이 나왔고 결국 승부의 분수령은 너구리 쓰로잉이었지만 그와 별개로 그냥 전반적으로 팀리퀴드가 담원보다 잘한 느낌이었고 특히 눈에 띄는게 미드정글이었던것 같습니다.
비억슨이 몇수를 하면서도 세계무대에 족적을 못남겼는데 옌슨은 과연...
더치커피
19/10/13 09:07
수정 아이콘
가장 직전 롤드컵 4강에 MSI 준우승이니 이미 어느 정도 족적은 남겼죠 크
19/10/13 09:22
수정 아이콘
뭐... 롤드컵 준우승을 해도 실패했단 소리를 듣는 팀이 있고, 8강 진출만 해도 신화 얘기를 듣는 팀이 있으니 기준은 다를수 있을것 같긴 하네요.
불굴의토스
19/10/13 16:16
수정 아이콘
4강정도면 북미팀에겐 역대급 쾌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북미팀 상대로 90퍼에 가까운 승률을 내던 LCK팀을 3대0으로 이긴거라서요.
카르타고
19/10/13 09:59
수정 아이콘
비역슨 IEM 우승이있긴합니다.
옌슨도 이미 족적은 충분히 남겼다고 생각하고
19/10/13 08:15
수정 아이콘
TL은 강팀의 면모가 보이더라고요. 초반에 좀 불리해도 견고하게 버티면서, 상대 빈틈이 보이면 치명적인 딜을 넣고 침몰시키는 것은 강팀의 모습이었습니다. 코장 더블리프트 다 좋아하는데 높이 올라갔으면 좋겠네요.
난나무가될꺼야
19/10/13 08:59
수정 아이콘
바텀 비원딜은 괜찮다고 보는데 팀에 원딜이 없는건 역시 리스크가 큰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비원딜은 후반갈수록 불안해지는 조합인데 블라디 베이가 다 후반챔프고 야스오가 활약하기엔 자르반 갈리오 아트록스 걸리적 거리는 챔프가 너무 많고 카이사 르블랑 포커싱하기도 녹록치 않고 폼이 가장 좋은 쇼메이커가 불안한 라인전을 가진 챔프고 궁셔틀로 전락해버린게 아쉬웠네요
EPerShare
19/10/13 09:05
수정 아이콘
올해는 정말 달라요 리라 조별리그까지만 해도 그냥 밈 같았는데 iG이기면서 정말 체급이 올라간느낌
19/10/13 09:18
수정 아이콘
잘하고 멋있더라고요. 솔직히 초반 한타들은 예상치못한 담원 전투력이 나와서 이긴거같고 운영상의 이점은 항상 TL이 가져간 것 같았습니다. 코장은 북미가서 행복롤하네요. 크크
aDayInTheLife
19/10/13 09:24
수정 아이콘
용쌈 덮립 앞궁에서 불판에 앜 덮립크크크크크 그랬는데 이건 몇년간의 경험에 따른 반사적 반응...이고 실제로는 팀적으로 단단했습니다. 개인기량싸움에서도 안밀렸구요. 저는 내심 tl 1위각도 쟀는데(승부의 신) 기대치 이상으로 해준거 같아요.
클로이
19/10/13 09:38
수정 아이콘
코장 들어간게 엄청 큰거 같습니다. 분위기만 잘타면 높은곳까지ㅡ갈듯
19/10/13 10:08
수정 아이콘
작년 가장 약점이었던 둘이 국제무대 검증된 카드와 월클로 바뀌어서....
피카츄 배 만지기
19/10/13 10:20
수정 아이콘
롤알못인 저를 반성합니다. 이번 오프닝 영상에서 캡스, 레클레스, 루키, 페이커만 나오고 북미선수는 안나온 것도 북미가 롤드컵에서 보여준 것이 없으니 북미팬들입장에선 아쉽겠지만, 당연한 수순이다 생각했었는데 과연 TL은 최강의 북미팀이라 불릴만 한 자격이 있군요.
북미를 어느새 과소평가하고 있던 제 자신을 반성합니다. 진짜 너무 너무 너무 멋있었습니다. 너무 잘하네요 TL!
묵리이장
19/10/13 10:36
수정 아이콘
처음으로 월클과 함께 하는 덥맆...
임팩트는 확실히 북미에 눌러앉아 있는 이유를 보여줬고.. 특히 너구리 거품을 한번 보여줘서 너무 만족스럽군요
롯데올해는다르다
19/10/13 11:36
수정 아이콘
북미 올해는 진짜 다르다..
유지애
19/10/13 13:16
수정 아이콘
저는 TL 믿고 있었습니다!! ㅜㅜ
태엽없는시계
19/10/13 16:12
수정 아이콘
늦게나마 봤는데 옌슨과 코장이 참 큰 선수라고 느껴졌어요. 이젠 정말 다르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777 [LOL] 씨맥이 금일 저녁에 추가 방송을 예고했습니다. [92] Leeka18515 19/10/18 18515 2
66776 [LOL] 그리핀 사태 관련하여 스틸 에잇쪽 입장문이 나왔습니다. [234] 타케우치 미유23414 19/10/18 23414 3
66775 [하스스톤] 하스스톤을 떠나보내며 [126] 스위치 메이커16918 19/10/17 16918 6
66774 [LOL] 씨맥은 롤드컵 직전 한 달 반 동안 잠적했었나? [65] Nasty breaking B17289 19/10/17 17289 12
66773 [LOL] 씨맥 차기 행선지에 대한 기사가 나왔네요. [163] 아름다운돌20817 19/10/17 20817 2
66772 [LOL] 롤 이스포츠 메니저 게임 공개된 내용들 [53] Leeka15291 19/10/17 15291 0
66771 [LOL] 몬테와 쏘린의 서머닝 인사이트를 기억하시나요? [38] 블레이즈13462 19/10/17 13462 3
66770 [LOL] 이번 그리핀 사태에 대한 부탁의 말씀 [105] 아름다운돌16137 19/10/17 16137 16
66768 [LOL] 여러모로 여러가지 스토리의 종착역인 느낌이 나는 이번 롤드컵 [23] 랜슬롯12477 19/10/17 12477 6
66767 [LOL] 클피셜 몇가지 내용 정리 [59] Leeka18767 19/10/17 18767 2
66766 [LOL] 씨맥 감독의 피드백에 대한 발언 전문 [325] 아름다운돌22031 19/10/17 22031 8
66765 [LOL] Cvmax 방송 속기록 (50%정도) [98] 스위치 메이커19115 19/10/16 19115 4
66764 [LOL] 씨맥의 카나비 발언 전문. [278] 월광의밤26740 19/10/16 26740 6
66763 [LOL] 롤드컵 그룹 1R까지의 라인별 픽된 챔피언들 (feat 역대급) [5] Leeka7464 19/10/16 7464 1
66762 [LOL] 레전드 오브 룬테라 짧은 후기 [19] Leeka10215 19/10/16 10215 0
66761 [LOL] 감독 최대어, 씨맥은 어디로 갈까요? [94] 아기상어14254 19/10/16 14254 0
66760 [LOL] 롤 10주년 짧은 후기 [14] Leeka9800 19/10/16 9800 1
66759 [LOL] 롤 10주년 초청 기념 연예인(?)분들 만난 후기. [43] 반니스텔루이11341 19/10/16 11341 4
66758 [LOL] 롤드컵 1라운드 돈 시점에서의 다데상 후보들 [54] 프테라양날박치기11281 19/10/16 11281 0
66757 [LOL] 중간점검 - 여러분의 승부의 신은 안녕하십니까? [26] 대관람차7910 19/10/16 7910 0
66756 [LOL] 2020 프리시즌!! 격동하는 원소 [41] 마빠이9311 19/10/16 9311 2
66755 [LOL] 그리핀 관련한 흐름에 부쳐 드는 한 가지 궁금점 [44] BlazePsyki10007 19/10/16 10007 2
66754 [LOL] 그룹스테이지 1라운드 내맘대로 평점 [41] YNH8665 19/10/16 866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