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6 19:41:15
Name 신불해
Subject [LOL] 역사상 최초로 원딜러가 데미지 비중 1위가 아닐수도 있는 이번 롤드컵










이번 롤드컵을 보면서 유독 포지션 중 가장 게임 영향력이 적다는 탑 포지션이, 반대로 게임에서 이길때는 탑 선수의 주목도가 엄청나고 반대로 질때는 탑선수의 역캐리가 눈에 띄는 느낌이라고 생각 되었는데,




실제 차트를 보면, 통계 자료가 나오는 14년 이후 이번 롤드컵이 데미지 비중에서 원딜러의 비중이 가장 적었던 롤드컵이 되었고,



반대로 탑 라인은 미드라인 조차도 제치고 현재 시점에서 25.5% 비중으로 원딜러와 정확히 똑같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역대로 탑라인은 롤드컵에서 데미지 비중이 늘 19~21%를 왔다갔다 했는데, 이번 롤드컵에서는 예전의 평균치에 비해 3~4%는 더 늘어난 수준입니다.


그만큼 탑에서 터지면 생각보다 악역향이 크고 탑 선수가 크면 게임에서 존재감이 폭발하는 경우가 잦은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저 비중 중에 남들 한 500 정도 수치 나올떄 혼자 1000 뚫고 이러던 더샤이가 통계를 좀 부풀린 측면이 있는것 같고 G2나 FPX나 결승에서 탑에서 극딜러 뽑을것 같진 않아서 결승까지 지나면 원딜 쪽이 어찌어찌 데미지 비중 1위는 차지할것 같긴 하지만



이번 롤드컵은 탑쪽에서 전체적으로 인상적인 장면이나 드라마가 많이 나온것 같긴 합니다.



그리고 올해 서포터 포지션이 유독 데미지 비중이 높게 나온 편인데 32강에서 몇차례 나온 가렌유미 영향도 있지 않나...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1/06 19:42
수정 아이콘
더샤이가 떨어졌으니 탑 퍼센티지는 좀 줄을듯요
19/11/06 19:47
수정 아이콘
다데상 받을정도로 부진하다는 소리 들은 너구리도 쇼메 제치고 팀내 딜 비중 1위죠. 원딜은 우지 떨어진것도 원인일듯 합니다.
Le_Monde
19/11/06 19:52
수정 아이콘
원딜이 강해지는 타이밍은 너무 늦고 크더라도 한타 생존력이 너무 떨어집니다.. 탑은 스플릿, 미드는 플레이메이킹을 겸임하는거 생각하면 원거리 딜러가 딜링 역시 탑, 미드만큼 나온다는건 정말 위상이 낮아졌다는 말이지요.
니시노 나나세
19/11/06 20:15
수정 아이콘
근데 탑은 승패에 영향력이 적다는 말도 옛말같은게

솔랭에서도 탑차이로 게임기우는게 한두번이 아닌데...
19/11/06 21:54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승"에 영향은 적고 "패"에는 영향이 큰... 버스 잘 타느냐 폭행하느냐로 나뉘는 라인이 아닐지;
퍼리새
19/11/06 22:14
수정 아이콘
말장난이에요... 그냥 탑도 요샌 캐리가 됩니다
Horde is nothing
19/11/06 20:16
수정 아이콘
누군가의 캐리나 묻어가는게 아니라 진짜 돌아가면서 해야 하는 시즌인듯
새벽별
19/11/06 20:25
수정 아이콘
솔랭은 바텀이 2대2에서 지면 아랫정글까지 3명이 무너져서..
헤나투
19/11/06 20:49
수정 아이콘
장기전이 줄어든게 가장 큰원인인거 같아요.
카르타고
19/11/06 21:23
수정 아이콘
제생각엔 원딜이 문제가아니라 바텀라인에 가렌, 야스오,신드라 같은 비원딜 챔프 나와서 그런거 같은데요.
그러면 원거리딜러 문제는 아니죠. 딜러 포지션인데 탱커가 나왔으니...
바텀라인에 나온 정통 원딜만 치면 더 올라가지않을까 싶습니다. 하다못해 가렌만 빼더라도... 문제는 가붕이야 역시
신불해
19/11/06 22:03
수정 아이콘
비원딜이 자주 나온다는것 자체가 정통 원딜이 별 힘을 못 쓴다는 이야기니까, 결론적으로 비슷한 이야기 아닐까 싶습니다.
StayAway
19/11/06 21:59
수정 아이콘
가렌 출전 횟수를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죠. 가렌 유미는 사실상 유미가 원딜 가렌이 서폿인데 포지션을 정정하면 다시 돌아갈겁니다.
19/11/07 05:48
수정 아이콘
비원딜의 문제라고만 보긴 어려운 게 작년에도 1티어였던 자야, 카이사의 dpm이 50 가량 떨어졌습니다. 롤드컵에서 1티어 원딜의 dpm이 500이하인 것도 이번이 처음이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67 [LOL] 슼런트가 방송 관리를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78] 삭제됨12940 19/11/12 12940 5
67066 [LOL] 후니, 2년 27억 재계약 [69] Leeka16469 19/11/12 16469 1
67065 [LOL] SKT 클리드&칸 챌코 프로 비하 논란 [275] 은여우30051 19/11/12 30051 4
67064 [LOL] 클리드처럼 중국인들에겐 욕을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시나요? [28] 삭제됨10141 19/11/12 10141 0
67063 [LOL] 사상 최악의 칼바람 OP, 세나 [35] 천영17648 19/11/11 17648 0
67062 [LOL] 2019 롤드컵 온라인 동시시청자 피크 TOP 5 [11] Leeka10386 19/11/11 10386 0
67061 [LOL] 2020년 롤드컵 결승전 장소가 공개되었습니다 [44] Leeka15320 19/11/11 15320 1
67060 [LOL] 올해의 스토브리그는 어떻게 될까요? [95] 베스타11280 19/11/11 11280 1
67059 [LOL] 조별리그에서의 약진, 그러나 우승권에선 더더욱 멀어진 LCK [58] 삭제됨10374 19/11/11 10374 2
67058 [LOL] LCK 스프링. 2020년 2월 개막? [47] Leeka11257 19/11/11 11257 0
67057 [LOL] 역대급 결승전 무대. 19 롤드컵 오프닝 [8] Leeka9090 19/11/11 9090 0
67056 [LOL] LCK가 가야할 길은 무엇일까? 이번년의 실패가 의미하는바. [111] 랜슬롯11826 19/11/11 11826 2
67055 [LOL] 결승전 경기 내용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 [55] Leeka10927 19/11/11 10927 0
67054 [LOL] 한화 리빌딩의 시작은 감독 [33] 비오는풍경11342 19/11/11 11342 2
67053 [LOL] 도인비가 걸어온 길 [184] 신불해153573 19/11/11 153573 120
67052 [LOL] IG매니저 - 루키 감독 버젼 [5] 하이재킹10644 19/11/11 10644 3
67051 [LOL] 롤드컵의 끝, LCK는 과연 [51] 루데온배틀마스터13088 19/11/11 13088 6
67050 [LOL] 2019 월즈 FPX의 완벽한 우승을 보며 LCK에 대해 느끼는 점 [187] 삭제됨24637 19/11/11 24637 0
67049 [LOL] 중국의 2년 연속 우승! 주제곡이 예언을 한 결승후기 [58] Leeka11508 19/11/11 11508 1
67048 [LOL] 유성 치명타 바루스 [10] 묻고 더블로 가!13987 19/11/10 13987 1
67047 [LOL] 씨맥 금수저썰 해명 [123] 문앞의늑대43866 19/11/10 43866 10
67046 [LOL] TFT 시즌 2 소감 [41] 스위치 메이커10550 19/11/10 10550 0
67045 [기타] SD건담 G제네레이션 크로스 레이즈 체험판 후기. [11] 김티모13372 19/11/10 1337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