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20 11:52:01
Name 군디츠마라
File #1 20160420115447_ugdcDf9T_EBAFB8EAB5AD.PNG (161.5 KB), Download : 78
Subject [일반] 미국 뉴욕주 경선 결과.jpg


http://edition.cnn.com/election/primaries/states/ny/Dem

민주당의 경우 현재 개표율 80%가 넘은 상황에서 힐러리 58% 샌더스 42%로 16%차로 대승했습니다.

아까(한국시간 9시) 발표된 출구조사에서는 힐러리-샌더스 52-48로 나타나 샌더스 측에서는 역전 혹은 신승을 기대했는데 결국 힐러리의 대승으로 물거품이 되었네요. 하긴 자기 상원의원 하던 지역구에서 참패하면 힐러리 입장에서도 이런 망신은 있을 수가 없어서...

흥미로운 사실은 민주당의 경우 남성은 대부분 샌더스에 표를 던진 반면, 여성들은 힐러리에게 몰표를 던졌습니다.

이제 샌더스는 뉴욕은 접고 26일에 열리는 동부 5개주(코네티컷, 델라웨어, 메릴랜드, 펜실베이니아, 로드아일랜드)에서 만회하겠다는데 현재 샌더스 입장에서는 뉴욕 포함 나머지 모든곳에서 60~70% 이상 이겨야 승산이 있지만 뉴욕에서 발려서 아무래도 어려울 듯.

공화당은 역시나 트럼프의 승리. 60%로 나머지 두 후보(크루즈, 케이식)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가능성이 높다던 크루즈는 이번에 케이식에게도 깨지고 20%를 못넘어 과연 트럼프의 대항마로서 제구실을 할 지가 의문인 상황입니다. 나머지 경선에서도 트럼프가 이긴다면 공화당은 중재전당대회를 하기도 전에 심각한 내홍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20 11:56
수정 아이콘
아 오늘 선거 있는 것 까먹고 있었네요. 힐러리가 이기는 거야 당연한 거였지만 16% 차이면 좀 크네요. 백인 지역에서는 대체로 샌더스가 우세한데도 동부쪽은 또 승리의 필승 공식이 좀 다른가봅니다.

트럼프야 뭐............. 크루즈 짜응 힘을 좀 내봐요!
-안군-
16/04/20 14:18
수정 아이콘
저겨;; 크루즈도 만만치 않은 인물이라고 하셨던 분이 누구시더...라...?
16/04/20 14:27
수정 아이콘
그게... 크루즈 짜응은 절대로 본선에서 선전할 리가 없거등요! 트럼프는 1% 위험성이 있어서 안됩니다.
하심군
16/04/20 11:59
수정 아이콘
요사이 샌더스가 재평가 되는 움직임이 있는 것도 크다고 봐요. 미국 대선도 요즘 들어선 누가누가 못하나가 되는 것 같아서 세상사는데 다 똑같은건가 싶기도 하고...
16/04/20 12:11
수정 아이콘
근데 샌더스 - 힐러리 간 경선이 끝나고 나도 우리나라 안철수 - 문재인 후보 단일화 때처럼 상처가 좀 남을 듯 합니다. 샌더스 지지자들 중에는 BernieorBust 해시태그를 다는 강경 지지자들 (샌더스가 후보로 선출되지 않으면 투표 포기할 예정) 이 상당히 많거든요. 이건 뭐 반대도 마찬가지겠지만, 하여튼 대놓고 말을 하는 분들은 샌더스쪽에 더 많습니다.

그래서, 트럼프 - 힐러리 간의 대선이 정말로 성사될 경우, 상식적으로는 힐러리가 되어야 맞는데, 의외로 트럼프가 될 가능성도 0% 는 아닌 듯 해요.
도깽이
16/04/20 12:17
수정 아이콘
탈세게이트가 그다지 큰 타격을 주진 못한 모양이네요?
16/04/20 13:27
수정 아이콘
음 그게, 샌더스가 탈세를 했다고 하면 치명적인 타격이 있겠지만 (그 분은 도덕성이 최대의 강점이니), 힐러리는 애초부터 그런 쪽으로 큰 기대를 받는 사람은 아니니까요. 힐러리의 강점은 '본인이 하려는 정책을 현실로 만드는 능력' 이고, 힐러리가 치명적인 타격을 입으려면 뇌졸증 (이거 은근히 가능성 있습니다. 전력이 있는 지라) 으로 한번 쓰러지는 정도가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캬옹쉬바나
16/04/20 12:02
수정 아이콘
진짜 트럼프 나오나요 크크크크크크크
16/04/20 12:06
수정 아이콘
트럼프 대통령되면 아시아지역 미국 회사들 상당수는 문 닫을 준비 해야죠 뭐..
지금뭐하고있니
16/04/20 12:23
수정 아이콘
뉴욕주면 힐러리 슈퍼팩의 핵심인 월가 포함아닌가요? 그럼 힐러리 승리가 놀라울것도 없을듯...
민주당경선은 끝이네요. 지난번 기자인터뷰도 제법 실망이었지만, 그래도 썩 괜찮았어요, 버니옹
Alan_Baxter
16/04/20 12:29
수정 아이콘
뉴욕주는 어차피 트럼프의 본거지인데다가 크루즈의 뉴욕에 대한 막말로 결과가 옛날에 결정된 상황이라서 별다른 상황 변화가 일어났다고 하기에도 뭣합니다. 여전히 트럼프의 과반 확보가 힘들다는게 정설이죠.
몽키.D.루피
16/04/20 13:24
수정 아이콘
무난하게 힐vs트 나오겠네요.
16/04/20 14:23
수정 아이콘
세상에 트럼프라니.
트럼프랑 친한 한국인 이런 기사 없나요.
-안군-
16/04/20 15:44
수정 아이콘
어...음... 혹시 꼼꼼하신 그분??
Jedi Woon
16/04/21 05:32
수정 아이콘
만약.......정말 트럼프가 대선에서 당선되면......
다이나믹한 역사가 시작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782 [일반] [연예] 스탠바이 I.O.I 1화 간단한 감상 [63] pioren8973 16/04/23 8973 3
64781 [일반] [정보] 배달의민족에서 LOL 결승 쿠폰을 뿌리고 있습니다 + 아이스크림 이벤트 [38] Slon8749 16/04/23 8749 1
64780 [일반] 나우루 공화국 이야기: 어떤 공동체의 타락과 그 이면 [27] santacroce10196 16/04/22 10196 50
64779 [일반] 동아의 김성근 감독을 향한 날이 갈수록 세지네요 [116] style15719 16/04/22 15719 8
64778 [일반] 취준일기 [22] 뀨뀨6263 16/04/22 6263 6
64777 [일반] 프로듀스101 비하인드가 끝났네요 [33] Go2Universe8734 16/04/22 8734 16
64776 [일반] 신병위로휴가 나왔습니다! [66] 삼성그룹6272 16/04/22 6272 7
64775 [일반] 부탁이다, 행복해져라. [12] 삭제됨5091 16/04/22 5091 5
64773 [일반] 일본 창작물 내에서의 임진왜란 [72] 눈시14396 16/04/22 14396 19
64772 [일반] [야구] 최초의 입잠실효과? 두산베어스 오재일 [21] 이홍기6373 16/04/22 6373 2
64770 [일반] [영화 리뷰] 밀양 [43] 대치동박선생9925 16/04/22 9925 5
64769 [일반] 해외지도자들 '트럼프 패닉'…오바마 설득도 안 먹혀 [55] 군디츠마라13320 16/04/22 13320 2
64768 [일반] 한국판 어벤져스를 만든다면 누가 나오게 될까?... [123] Neanderthal9640 16/04/22 9640 4
64767 [일반] 20세기에 태어난 흑인 모차르트, 별이 되어 떠나다. [6] AlPha-Zerg5376 16/04/22 5376 3
64766 [일반] 도서 정가제 시행 후 2년, 무엇이 달라졌나 [67] 아리마스10269 16/04/22 10269 1
64765 [일반] 기생충 이야기 [5] 모모스20138726 16/04/22 8726 9
64764 [일반] 클로버필드 10번지 (2016) _ 돌려막는 자기 소개서 처럼 [24] 리니시아5163 16/04/22 5163 0
64763 [일반] SM STATION/루이의 MV와 러블리즈/트와이스/에이프릴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4] 효연덕후세우실7122 16/04/22 7122 2
64762 [일반] 美음악가 프린스, 자택서 숨진 채 발견 [62] 삭제됨9665 16/04/22 9665 1
64761 [일반] [데이타, 잡담] 텍사스 사진 몇 개. [41] OrBef6360 16/04/22 6360 13
64760 [일반] 학원 확장개원기 [21] 억울하면강해져라7478 16/04/22 7478 23
64759 [일반] [야구] 김성근은 누구인가 [116] 레몬커피12434 16/04/22 12434 35
64758 [일반] 아이폰의 한국 가격을 통해 본 애플코리아의 가격전략 [80] 훈련중11901 16/04/21 11901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