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9/01 22:52:18
Name style
Subject [일반] 지역화폐 카드 잘 쓰고있습니다.


여러분의 지역은 지역화폐가 잘 쓰여지고있으신가요?
대표적으로는 인천e음카드가 유명한데요.

저는 작년에 부산에서 양산으로 이사왔는데, 올초에 양산시에서 지역화폐로 양산사랑카드를 발급했습니다.
양산이 기초지역자치단체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는데요
처음에는 별 미지근한 반응이었는데, 지금은 활성화되었습니다.
초기 10억원의 자금이 다 소진되고 반응이 좋아 시에서 추가 10억원을 풀었습니다.
코나카드의 선불충전식인데, 현재는 특별인센티브로 최대 월 50만원 충전시 10%인 5만포인트가 지급됩니다
그리고 9.1% 정도로 결제시 포인트가 차감됩니다.
50만원 충전-5만 포인트 적립이고, 50만원 결제시 45.5만원 차감, 약 4.5만 포인트가 차감됩니다.

https://blog.naver.com/eyangsancity/221481677908
자세한 이야기는 양산시청 블로그.

신용카드 피킹률이 5% 내외인데 이 카드는 거의 곱절이니 쓸만하더군요.
단, 대형마트나 양산 외 지역 등은 사용 안 됩니다. 지역내수활성화 측면에서도 좋아보이기도하고요.
양산시민아니더라도 발급은 가능합니다.

부산은 부산동구안에서만 쓸 수있는 e바구카드가 최근에 나왔습니다.
울산도 바로 저번주에 울산페이가 나왔습니다.
경남은 제로페이기반 경남사랑상품권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부산동구는 양산과 같은 코나카드, 울산,경남은 제로페이계열이라 가맹점이 시에 따로 신청하고 승인을 받아야합니다.
범용성 측면에서 조금 우려스럽긴합니다만 제가 잘 모르는 분야라 길게 서술이 어렵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테비아
19/09/01 23:00
수정 아이콘
주변 사람들한테 "이거 다 결국 여러분 세금 돌려주는건데 안 쓰는 사람만 손해임"하면서 알리는중입니다.
지역에 재래시장 두 개가 있는데 뭔가 가맹해야하나 하는 분위기로 흘러가는 건 긍정적입니다.
게다가 제가 사는 동네는 만24세 청년에게 연 100만원씩 지역화폐로 충전해줍니다.
좀 늦게 태어날걸 싶습니다..ㅠㅠ
Janzisuka
19/09/01 23:17
수정 아이콘
저는 시흥시에서 지역화폐 '시루' 가맹점으로 카페를 하고 있습니다.
초반에는 종이화폐로 시작하여 1주일에 한두번 정도만 들어오던 지역화폐가
모바일로 바뀐 이후로는 하루에 5-7번 결제 이뤄지고 금액도 꽤 많이 차지합니다.
모바일 지역화폐의 경우 좋다고 느낀 점이
지역 청년들이 신청을 통해 수당?처럼 받는 게 있다고 합니다.
또한 주민들도 10프로 감면된 가격(40만시루 -> 36만원)에 구입하여 쓰기에
모임이 많은 중년여성분들(총무분들)이 꽤 많이 이용합니다.
모바일은 자동으로 현금계산서가 발행되게 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1석 2조인거 같아요.

불편한 점은 모바일은 괜찮지만..뭐 현금이라도 세금계산서 안끊는 분도 계시고
지역 종이화폐의 경우는 모아서 가까운 농협으로 가야합니다. 농협이 근처에 없어서 모았다가 한번에 방문하곤 하네요

주변 음식점과 미용실 카페 등등 많이 사용하니 돌고 도는게 꽤 보기 좋습니다.
칸예웨스트
19/09/01 23:18
수정 아이콘
저도 광주상생카드 잘 이용하고있습니다

유니버시아드 기간때도 10% 할인해서 50만원 선불카드를 45만원에 써서 꿀빨았는데 이번달도 추석이라고 10%할인해주네요..

왠만한 식당에서는 다될뿐더러 주유소에서도 사용가능하니 솔직히 5만원 거저버는기분이에요
파인애플빵
19/09/02 00:53
수정 아이콘
저도 웨스트님 덕분에 좋은 정보 알게되서 쓰고 싶은데요 혹시 이거 사면 나중에 연말정산 할때 적용은 되나요?
칸예웨스트
19/09/02 08:37
수정 아이콘
광주같은 경우에는 선불카드를 구입처가 광주은행인데 여기서 주민번호등 개인정보를 입력하기때문에 자동으로 연말정산에 반영이 된다고합니다
파인애플빵
19/09/02 11:3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걸그룹노래선호자
19/09/01 23:33
수정 아이콘
그러나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제로페이는...
소이밀크러버
19/09/01 23:48
수정 아이콘
부모님 말씀으로는 군산도 지역화폐가 잘 정착했더군요.
19/09/01 23:53
수정 아이콘
경기도 사는데 저도 잘쓰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거 되냐고 안물어봐도 그냥 되는게 편해요.
수분크림
19/09/02 00:02
수정 아이콘
이음카드 혜택 점점 줄어들더라고요. ㅠㅠ 그래도 6퍼도 만족
19/09/02 00:23
수정 아이콘
서울은 뭐없나요....
스웨트
19/09/02 01:09
수정 아이콘
제.. 제로페이?
韩国留学生
19/09/02 03:29
수정 아이콘
하이고!
지니팅커벨여행
19/09/02 13:50
수정 아이콘
서울은 저런 거 안해도 들어오는 돈이 워낙 많아서...
지방은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 상점 같은 거 하나 들어오면 거기 직원 임금으로 빠지는 것 말고는 대부분 본사로 가니까 지역경제가 점점 황폐해지죠.
근데 서울은 이른바 빨대를 꽂고 있는 느낌이랄까, 아무튼 수도와 제1의 도시 특혜를 누리고 있는 셈이니 없어도 전혀 문제 안 될 겁니다.
19/09/02 01:03
수정 아이콘
인천 대박이더군요...
여기저기 다 하는거였구나...
닉네임을바꾸다
19/09/02 01:08
수정 아이콘
지금 예산부족인지 포인트가 구내에선 10퍼 주건걸 6퍼로 조정된건 아쉽지만....
김만치두
19/09/02 03:40
수정 아이콘
춘천은 아직 상품권으로 파는데 이렇게 카드로 나오면 저도 자주 쓸 거 같아요 크크크
곤살로문과인
19/09/02 09:14
수정 아이콘
춘천 놀러갔더니 공원입장료를 지역화폐로 바로 페이백해주더라구요
괜찮던데요 관광객입장에선
최인호
19/09/02 13:09
수정 아이콘
이음카드 짱짱맨..

애들 학비 100만원 정도 결재해서 10만원 캐쉬백 받고 학원 하나는 공짜로 더 보내고 있습니다.

전 연수구라 아직은 10%.
WhenyouinRome...
19/09/02 18:46
수정 아이콘
울동네는 왜 없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584 [정치] 민주당 공식 트위터 이거 제정신인가요?(동양대 총장 관련) [412] 차오루24998 19/09/05 24998 94
82580 [일반] 제13호 태풍 '링링'이 심상치 않습니다. 모두 대비하셔야... [63] 청자켓14192 19/09/05 14192 2
82577 [정치] 여상규 “증인 합의 없인 불가” 어깃장…원내대표 합의 뒤집어 [132] 어강됴리12766 19/09/05 12766 1
82575 [일반] [도서] 美 대통령 루즈벨트(FDR)의 전기 3부작 [1] aurelius7110 19/09/05 7110 0
82573 [일반] [해외] 브라질 대통령의 패륜성 발언 [16] aurelius8754 19/09/05 8754 5
82570 [일반] [창작] 뻥튀기 마이스터는 이렇게 말했다.- 건강한 인간이 부르짖는 영원한 긍정의 뻥이요. [4] 태양연어4868 19/09/05 4868 0
82569 [일반] 국제적 내로남불의 시대 [53] 어느새아재12687 19/09/05 12687 12
82568 [일반] [팝송] 메이블 새 앨범 "High Expectations" 김치찌개5342 19/09/05 5342 1
82567 [일반] 해외드라마 소개합니다. 2탄 [23] 삭제됨6489 19/09/04 6489 1
82566 [일반] 최근 영화 감상평과 추석영화 3파전 예상 [21] 청자켓9692 19/09/04 9692 0
82565 [일반] 초딩때의 연애담. [15] 음냐리6083 19/09/04 6083 2
82564 [일반] 늦었지만 엑시트를 보고 왔습니다. [20] 콩사탕6959 19/09/04 6959 5
82563 [정치] 조국 딸의 'KIST 인턴증명서" 및 "동양대총장표창" 허위발급 정황(총장육성증언+내용추가) [319] 차오루24364 19/09/04 24364 49
82562 [정치] 투표로 세상을 바꿀 수는 없었습니다. [136] 로빈팍10299 19/09/04 10299 55
82561 [정치] 그분보다 어용지식인,언론인들이 더 신물납니다 [35] Gloomy10886 19/09/04 10886 23
82560 [정치] 홍준표 전 대표가 나경원 원내대표에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63] 홍준표10708 19/09/04 10708 17
82559 [정치] "대입 재검토는 정시수시 비율 조정 아냐" “정시 확대? 굉장한 오해” [172] 사악군14186 19/09/04 14186 10
82557 [일반] 홍콩 송환법 공식 철회 예정 [46] 오클랜드에이스10372 19/09/04 10372 20
82556 [정치]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6일 하루 개최 합의 [149] 칸예웨스트12895 19/09/04 12895 4
82555 [정치] 이게 다 자한당 탓이다 [69] 피정8949 19/09/04 8949 15
82554 [일반] 한국(KOREA)형 문화콘텐츠모델 [10] 성상우6490 19/09/04 6490 3
82553 [정치] 미혼 女 후보자에게…"출산율이 문제·기여해달라" [81] 허니드링크12677 19/09/04 12677 14
82551 [정치] 조국 임명, 반대 51.5% - 찬성 46.1% [428] 어강됴리22166 19/09/04 22166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