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15 09:17
(수정됨) 수수료보다 더 올립니다 . 30프로를 구글이 가져가면 가격을 40프로 올려도 작가에게 가는 인세는 더 줄어요. 그리고 저건 어차피 가격 올려야만 하는 요인이라 정가제랑 별 상관이 없습니다...여기서도 몇번 나왔던 이야기 같은데 웹소설의 경우 지금 점점 플래폼이 갑이 되는 상황이라 정가제 현행 유지가 작가들에겐 훨씬 좋습니다. 정가제 폐지하고 플레폼이 무한 할인 이벤트 가능해지면 카카오랑 네이버 뺀 플레폼은 다 죽습니다. 작가는 플래폼에서 지금도 그렇지만 점점 더 이벤트 안받으면 지금처럼 절대 돈 못벌고고요.
21/06/15 09:21
인앱결제 강요 자체가 문제입니다.
단지 결제 대행만으로 30프로의 수수율이라뇨 말도 안되는 억지입니다. 이미 애플은 현실화된 지옥이지만 구글까지 이딴 짓을 하게 놔두선 절대 안되죠.
21/06/15 09:28
애플이나 구글이나 시스템 만들었다고 30%를 날로 먹죠
초창기야 힘들게 만들었으니 그러려니 하는데 이제 10년이 넘었는데도 전혀 변화가 없는건 양아치라고 봅니다
21/06/15 09:28
카카오 캐쉬나 쿠키나 문피아 골드 충전할 때 어차피 돈내야 하니 인앱결제할 때는 수수료 가져갑니다. 우회결제 유도할 시 스토어에서 퇴출시킬 거라고 하고요 탈세하지 못하게 하니까 돈 뜯어서 채우겠다는 쌩양아치 짓....
21/06/15 09:31
아직도 왜 책통법이 이북까지 규제를 해야만 하는지 모르겠는 1인입니다
전자책도 책이고 isbn이 들어가니까 규제 대상이다 이런 황당한 이야기를 하던데...
21/06/15 09:37
이익단체가 힘 써서 만들어놓은건 아무리 국민이 반대해봐야 소용없다는 거지같은 선례죠.
다 문제 많은거 압니다. 대놓고 이거 찬성하는 사람 출판사 관계자들뿐입니다. 그럼 뭐합니까. 어차피 안바꾸는데.
21/06/15 10:19
음악, 게임같은 컨텐츠 업계에선 일반적이긴 합니다.
현물이 없고 무한정 복사 가능하니 마케팅이나 유통의 기여를 많이 쳐주는 건데 구글은... 유통업 위의 플랫폼인데 거기서부터 30%라니... 그 밑에서 멜론 리디같은 유통업자가 또 먹으면 대체 저작자의 비중은... 스팀, 에픽은 본인이 판매업까지 겸하기라도 하는데 말이죠
21/06/15 09:52
이건 도정제랑은 별개의 문제로 봐야할것같아요.
기존 전자출판업체(카카페 시리즈 문피아 리디북스 등등)들이 인앱결제 수수료(30%)를 우회하기 위해서 결제를 앱이 아니라 웹상에서 기능하도록 일종의 꼼수를 썼었는데 구글이 이거 못하게 막겠다, 꼼수쓰는 업체는 플레이스토어에서 앱 내려버리겠다는 입장인거고 그럼 업체 입장에선 하루아침에 매출의 30퍼센트를 가져다바치게 생겼으니 이걸 소비자한테 전가할수밖에 없다는 입장인거죠.
21/06/15 10:04
제가 생각하는 전자책에서의 도서 정가제의 문제는 이렇습니다.
1. 애초에 도서 정가제 취지인 동네 서점 부활과 전자책은 아무 관련이 없다. 전자책을 도서정가제 카테고리에 넣는거 자체가 문제. 2. 전자책 정가의 기준을 종이책 기준 80%로 측정하는데, 도서 정가제로 정가가 올라서 전자책 정가도 (다른 나라에 비해) 비쌈. 3. 도서 정가제가 없다면 이번 케이스처럼 구글이 수수료를 부과하는 일이 벌어져도 전자책을 판매하는 플랫폼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매출 하락을 메꿀 시도를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가령 리디북스 십오야처럼 포인트 추가 적립같은) 하지만 도서정가제로 인해서 수수료가 부과되면 정가를 올린다는 방법말고는 돌파할 방법이 없다.
21/06/15 10:09
전부 동의합니다.
다만 이번 수수료 문제는 웹소에 돈 꽤 쓰는 독자 입장에선 걍 구글 이놈들이 나쁘고 정부가 입법으로 디펜스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기존에 플랫폼, 출판사, 작가가 나눠먹던 파이에서 갑자기 구글이 30%를 홀랑 집어먹겠다고 나서는 건데 소비자부담 전가도 그렇지만 제가 좋아하는 작가 수입 줄어들 것도 불쾌하고, 이러면 유의미한 소득을 내기 위한 커트라인도 올라가버리니 마이너 취향 작품들 입지는 더욱 줄어들어서 결과적으로 웹소설이 더 재미없어지게 만들거란 말이죠...
21/06/15 10:16
(수정됨) 뭐 3번같은 경우식으로 이번건에 대응하면 매출하락은 그렇게 막는다쳐도 순이익이 나락갈거라서...크크
아니 앱결제로 발생하는 매출 3분의 1을 고정으로 가져가지는데...사실 대응이 되나요? 거의 매출 2배로 만들어도 순이익 원점가기 힘들어보이는데...
21/06/15 09:58
(수정됨) 음 근데 이 건은 정가제와 상관없어보이는데 정가제 없으면 인앱수수료가 안생기는것도 아니고...
그리고 70-80퍼선이지만 전자책은 의외로 다른나라라고 반값 미만 이러지는 않았으니까요(특가같은건 말그대로 예외케이스일거고...) 오히려 우리나라보다도 높으면 높은 나라도 많을겁...
21/06/15 10:06
예전에 북큐브 ios 앱은 아예 인앱 결제를 없애 버렸었는데 요즘엔 되나요?
지금 애플 기기가 없어서 카카오페이지 같은 도서 앱들은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네요
21/06/15 10:07
근데 리디북스는 서점자체를 누르면 웹으로 보내서 찾기부터 이쪽에서 해야하는데 이것도 막을수 있나요?
지금보니 웹소설, 웹툰은 앱에서 바로 검색이 되네요.
21/06/15 10:15
세상 모든걸 앱으로 결제하는 시대인데, 세상 모든 것에 30프로 세금을 떼려고 드네요...
플랫폼 생태계에 구글 애플이 기여한 바야 인정하지만 너무 선 넘어요.
21/06/15 10:19
그래서 에픽이 애플 상대로 건 소송에서 이겨야 하는데, 에픽이 일반 게이머들에게 인상이 안 좋다보니 중요한 문제인데도 이거 에픽 편드는 사람이 별로 없더군요.
21/06/15 12:29
솔직히 이북도 스팀처럼 할인해서 팔면 수수료와 관계없이 많이들 살텐데… 아쉽네요. 읽으려고 책사는 것보다도 예전에 도서관이나 대여점 등에서 봤던 책들 80-50퍼 할인 뜨면 옛생각하면서 무지성풀매수 쌉가능일텐데요
21/06/15 13:14
실제로 몇년전까지 리디같은 곳에서 연말이면 전집들 싹 모아서 80%씩에 할인하고 그랬는데 그거 판매가 어마어마했다고 하더군요.
아니나다를까 도정제 주장하는 단체들에서 그거보고 이거 큰 문제다 전자책도 정가제 해야된다고 해서 없어졌죠.... XX들 진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