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16 14:11
(수정됨) 어차피 상용화는 대충 직전세대 커버리지라던지 기술성숙도가 거의 완성될때나 되서...
6G 나오면 반쪽짜리 6G나 커버리지 문제 등등 또 그럴겁니다 크크 LTE가 롱 텀 레볼루션 줄임말인거처럼 단계적으로 개선하면서 만들다보니...
21/06/16 14:10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회절이 잘 안돼서 도달거리가 짧아지던가 그랬던것같은데 기가도 아니고 테라헤르츠면 대체 무슨 기술을 갈아넣어서 쓸만하게 만들었을까 궁금합니다.
근데 전자파가 테라헤르츠면 거의 가시광선에 가깝지 않나...했는데 가시광선쯤 가려면 한 4~700테라헤르츠쯤 되는군요..
21/06/16 14:14
알고는 있는데 지금도 기지국 문제때문에 5g가 제속도 안나오고 베타테스트 돌리는 상황이랑 다를게 없어서...
통신관련해서 참 답답합니다. 물론 들어가야되는 돈이 커서 어쩔수 없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21/06/16 14:17
베타테스트면서 강제로 5G요금제 쓰게 하고, 요금은 다 받아먹는..
물론 그게 싫어서 자급제로 가면 되고, 그렇게 하고있긴 하지만..참 거시기합니다.
21/06/16 14:20
(수정됨) 5G 기술은 아직 미완성단계이고, 실제 필드에서 충분히 자리잡지도 못한 게 맞습니다.
그러나, 원래 약 10년 정도의 주기로 4G, 5G, 6G 등 다음 세대 통신기술들에 대한 연구/표준화 논의가 진행됩니다. 5G 연구도 당연히 4G 서비스가 완성/정착되기 전부터 진행되었고요. 5G 서비스가 아직 완성/정착되기 전의 상태에서 6G 연구가 진행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럽고 오히려 꼭 필요한 일입니다.
21/06/16 14:31
6G 통신 기술 목표치로서 얘기되고 있는 수치 중에서 [사용자당 최대속도 1Tbps(=1000Gbps) 조건]이 있습니다.
알기 쉬운 예를 들면, 만약 광통신도 광케이블을 넓게 가져가면 사용자당 최대속도를 늘릴 수는 있겠지만 일반적인 가정용 통신 환경에서 그렇게까지는 하지 않을 거고요, 한편 무선통신기술에서는 통신 경로가 무형의 자원(무선주파수 등)이니만큼, 이론적으로 한 사람이 어마어마한 통신 경로를 독점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통신 경로가 넓어질수록 더 빠른 통신이 가능한 거고요. 또한, 주파수가 높아지면 거기에 담을 수 있는 정보량도 많아집니다. 그런 의미에서 통신 속도 향상을 위해 '더 높은 주파수'(고주파수)/'더 넓은 통신대역폭'(광대역) 통신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물론 이것만은 아니고) 본문은 그런 연구들의 결과라고 보면 될텐데, 다만 실험실 레벨일 뿐이고 실제 필드에서 적용되는 실험결과는 아니라고 보셔도 되겠습니다.
21/06/16 14:28
(수정됨) 벌써 5G 백서의 스펙에 다가가고 있는건가요
하여간 대단하긴 하네요.. 앞으로 2년은 족히 더 걸릴거라고 봤는데 저게 엄청나게 짧은 파장, 높은 주파수의 전파를 쏴서 통신속도를 늘린 겁니다. 주파수가 높으면 전송속도가 비례해서 빨라지는데다, 파장이 짧으니 안테나가 짧아지고, 안테나가 짧아지니 차지하는 공간도 줄어들어서, 여러개의 안테나를 활용해 이론상 엄청나게 빠른 통신이 가능해요. 대신 전파의 직진성이 너무 강해서 기지국이 엄청 많이 필요하고, 기술적으로도 저 수많은 안테나들을 끊임없이 계산해서 실시간으로 방향을 잡아줘야 합니다. 이게 벌써 되다니... 다들 얼마나 갈려나간걸까
21/06/16 14:41
어휴 토나옵니다 ㅠㅠ
[특히, LTE와 5G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MOS공정 기반 RFIC와 이를 통해 구동되는 128개 안테나 소자가 배열된 송신기와 수신기 모듈, 실시간 고성능 빔포밍을 지원하는 모뎀을 구성해 시연을 성공시켰다.]
21/06/16 14:44
다시 말해서, (꼭 그런 건 아니지만)
[10년 뒤 오늘] 우리는 '아니 통신사들 6G 통신 서비스가 이 모양 이 꼴인데 7G 통신 연구는 저렇게 진행되고 있다고?'를 외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21/06/16 15:05
뭐 생각해보면 4G에 비해 5G 요금제는 최상단은 생각보단 안올랐는데 하위를 날려서 높아진거니까...
근데 가다보면 하위 요금제는 만들어지긴하는데...
21/06/16 15:11
한번으로는 안되고요,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6G 스펙이 5G 스펙 50배 쯤 된다고 치고
부스터샷을 50번 맞으면 아마 보일 것 같습니다. (죽어서 보게 될 수도 있겠네요)
21/06/16 15:26
(수정됨) 사실 가시광선 영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술도 이미 있습니다.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OWC(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같은...
예를 들어, LED가 점멸하면 빛이 나오거나 꺼지는데, 그걸 카메라 또는 광수신기가 읽어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그런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할라치면 LED 점멸 속도가 '매-우' 빨라야 하는데, 이러면 LED가 켜지고 꺼지는 게 인간 눈에 안 보입니다.
21/06/16 15:27
이게 개발한다고 다 되는게 아닌게,
사용자당 1000Gbps 지원되는 단말과 기지국 설비가 나온다 해도, 그걸 중앙에서 버텨줄 설비도 그만큼 업그레이드가 돼야 하는거죠 4g까지야 기존 유선설비가 충분히 버틸만 했을거라 보는데, 5g가 아직껏 개판인것도 그런거라 봅니다 메쉬니 뭐니 해도 단파장의 직진성으로 인한 문제도 엄청나게 커지는 거고.. 전력소비량은 어떨지 충분히 낮은 목표치가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