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23 00:28:52
Name 우그펠리온
File #1 db73b233f4dd2874473224c1a7532c8e.png (68.2 KB), Download : 28
File #2 99beebebd9e0c305d6fc73ccb26bd438.png (20.7 KB), Download : 11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의외의 국뽕 요소? (수정됨)





1. 달빛조각사를 불법 번역해서 러시아 누렁이들이 퍼먹음


2. 인기가 엄청 높아져서 달빛 조각사 팬픽이 만들어짐


3. 이 팬픽 쓰던 러시아 작가들이 모여 하나의 장르화 됨.(장르명 : LitRPG)


4. 북미 누렁이들이 같이 퍼먹기 시작함.


5. 달빛조각사 불법으로 보던 사이트 '로열로드'는 웹소설 연재 사이트로 변경됨.(로열로드는 달빛조각사의 가상현실 게임 이름)


6. 그전부터 겜판소 연재하던 북미 작가들 소설도 LitRPG라는 이름으로 묶임.



현재도 절찬 진행중

(나혼렙 뜨면서 다시 뜨는중)


이전에도 영미권에 수많은 가상현실 관련 문학이 있었지만 달빛조각사풍의 LitRPG가 유행하면서 LitRPG라는 하나의 장르로 묶이게 됨.

(한국에서 90년대에 만들어진 탐그루,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을 겜판소라고 하는거랑 비슷)



LitRPG특징

- 상태창!

- 게임에서의 능력으로 현실에서도 부와 명예

- 기행으로 기연을 얻음



-----------



장르소설 나름 많이 봤는데 달조가 이런 영향을 끼쳤는지는 처음 알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패스파인더
22/02/23 00:34
수정 아이콘
달조가 지금와서 폄하되는 분위기가 있긴 한데, 초반만 넘기면 전개도 시원시원하고 재미있었습니다
설정 하나하나 깊게 따지지 않고 즐기기엔 최고였죠
22/02/23 01:03
수정 아이콘
웹툰 엄청 재밌게 봤는데 아직도 안 나오는 ㅠㅠ
MissNothing
22/02/23 07:31
수정 아이콘
초반에 재밋고 하나의 장르를 개척한것도 사실이죠
그리고 노잼노잼 하면서도 그런 패턴으로도 그만큼 쓴것도 대단하고...
멸천도
22/02/23 09:59
수정 아이콘
장르를 개척한게 맞나요? 제 기억엔 그거 이전에도 비슷한 장르가 몇편 있었던거같은데요.
옥스타칼리스의 아이들은 솔직히 겜판소에 끼기 힘들다고 쳐도 유레카나 더월드가 더 먼저였던거같은데...
MissNothing
22/02/23 10:24
수정 아이콘
이고깽, 겜판이야 차고 넘쳣지만, 뭔가 달조 특유의 리듬이 있는 글이 그 이후에 많아졋으니까요.
음란파괴왕
22/02/23 11:42
수정 아이콘
달조는 겜판이 한창 흥하던 때에 나온거라 장르의 개척이라고 할 순 없고, 완성형이라고 볼 수는 있을 듯 합니다. 카카오페이지를 흥행시키면서 겜판의 재유행을 이끌었던 작품이기도 하고요.
이리떼
22/02/23 01:13
수정 아이콘
호기심에 좀 알아본 적이 있는데 재작년 연재되던 소설 속 엑스트라도 꽤 많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거긴 novelupdates라는 사이트였는데, 물론 당연히 불법 번역 사이트였고요. 하나 신기한 게 있다면, 불법 번역자에게 돈을 내고(월 구독) 최신 번역본을 보는 시스템이 있었던 걸로 압니다.
메타몽
22/02/23 07:28
수정 아이콘
아니 크크킄크크

러시아도 북미도 사람 사는데는 비슷비슷하네요 크크크
한겨울
22/02/23 08:04
수정 아이콘
로열로드에서 소설 읽었었는데 이름 유래를 처음 알았네요.
개좋은빛살구
22/02/23 08:14
수정 아이콘
제 소설 입문작이 더로그였는데
그걸 너무 재밌게 읽어서
그 다음작품으로 본게 달빛조각사였네요
근데 그때당시에는 너무 어렸어서 세상에 완결작만 존재하는줄 알았어서 8권인가? 10권인가 까지 나온거 한번에 다사서봤는데
세상에나...
학창시절 끝날때까지 끝이 안나다가 최근에 끝난거 알고 다시 정주행 하려고 돈모으고 있습니다 크크
22/02/23 09:20
수정 아이콘
문화는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받는거죠.
주도적이고 아니고의 차이만 있을뿐 우월하고 열등하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주가끔 예외는 있지만요.
이부키
22/02/23 09:58
수정 아이콘
어우 전 달조 못보겠던데... 나혼렙이 마지노선입니다.
22/02/23 10:03
수정 아이콘
옛날에는 양판소 되게 무시했는데, 결국 사람의 욕망이란건 나라 구분없이 다 비슷비슷하더라고요. 크크크....
어떤 면에서는 한국이 인터넷 문화가 발달해서 이런 웹소설분야에선 앞서간거라 생각합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2/02/23 10:04
수정 아이콘
오 유레카 소개해주고 싶네요 :)
22/02/23 10:58
수정 아이콘
게임 마법의 대륙 세계관 아니었나...
샤르네아
22/02/23 12:16
수정 아이콘
달조 재밌었는데 마무리가 너무 아쉬웠습니다 ㅠㅠ
카카오스토리 연재 후 연재압박 때문인지 몰라도
후반부가 아쉬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158 [스포츠] 대동아공영권 [28] 암모니아11531 22/02/26 11531
449157 [유머] 맞는말 대잔치 [23] 소믈리에12341 22/02/26 12341
449156 [방송] 세기말에 구성한 2000 밀레니엄 슈퍼내각.JPG [23] 비타에듀9410 22/02/26 9410
449155 [방송] 이환경 유니버스 - 야인시대 X 연개소문.AVI [2] 비타에듀5416 22/02/26 5416
449154 [유머] 러시아군의 보급품 조달방법 [22] 삭제됨11962 22/02/26 11962
449153 [연예인] 영원히 암흑기에 빠진 한국음악.TXT [64] 비타에듀17596 22/02/26 17596
449152 [유머] 폰허브 러시아 ip 차단 [22] 삭제됨11148 22/02/26 11148
449151 [LOL] 2022 T1의 현주소 [10] roqur8284 22/02/26 8284
449150 [유머] 33만원짜리 사무용PC내부 모습.jpg [45] VictoryFood13050 22/02/26 13050
449149 [기타] 갤탭8에서 3디마크를 원신이름으로 실행하면?? [21] Lord Be Goja6933 22/02/26 6933
449148 [게임] 분명 합법인데 불법하는 것처럼 보이는 짤 [6] 달은다시차오른다8122 22/02/26 8122
449147 [유머] 우크라이나- 한국에 사이버보안 도움 요청 [11] 맥스훼인7893 22/02/26 7893
449146 [기타] 마침내 시행되는 국내 프로토(스포츠토토) 제도 [12] 닭강정7193 22/02/26 7193
449145 [기타] 일본인은 우크라이나인의 심정을 압니다.twitter [54] 이호철11550 22/02/26 11550
449144 [기타] 2019 우크라이나 대선 경험해보기 [47] 옥동이10509 22/02/26 10509
449143 [기타] 스타로드는 사망보험금을 수령할 수 있을까? [15] KOS-MOS9563 22/02/26 9563
449141 [게임] 엘든링 리뷰가 고평가된 이유에 대한 리뷰를 올린 웹진 [62] EpicSide13764 22/02/26 13764
449140 [방송] 아이돌 외모의 예쁜 바이올리니스트 [17] League of Legend13032 22/02/26 13032
449139 [방송] 중국 선수로 금메달 땄으니 스탠퍼드 대학갑니다잉 [40] League of Legend12660 22/02/26 12660
449137 [유머] 하.. 우리 언니 수준.. [10] KOS-MOS12168 22/02/26 12168
449136 [유머] 배고픈 콩쥐.jpg [8] KOS-MOS7182 22/02/26 7182
449135 [LOL] 사진을 보고 승리팀을 맞추시오 [16] 도안6475 22/02/26 6475
449134 [기타] 공습 중 결혼식을 올리는 우크라이나 커플 [18] Rain#113475 22/02/26 134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