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0/07 14:48:12
Name 박수갈채
Subject [질문] 원래 학부 공부는 자기가 하는 걸까요?
학부를 졸업하고 느낀거지만 수업시간 중에 배운 것보다 수업 외적으로 자습하거나 독서, 소모임 등에서 배운 것이 더 많아 보입니다. 저의 착각일수도 있지만 교수님의 강의가 공부의 기초가 되었을지언정 정작 배운 건 강의 외부에서였던 것 같아요. 원래 이런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걸음
20/10/07 14:52
수정 아이콘
사실 공부는 자기가 하는 거긴 하죠. 강의는 공부할 때 도움되려고 참고하는 것이고...
현실적으로도 교수 임용 과정에서 강의력을 테스트하지는 않기 때문에 교수님마다 강의력이 천차만별일겁니다. 본인의 연구와 전혀 관련 없는 과목을 어쩔 수 없이 맡게 되는 케이스도 많고요.
worcester
20/10/07 14:53
수정 아이콘
그냥 공부라는 것 자체가 스스로 하는 게 메인이라 생각합니다.
칠데이즈
20/10/07 14:55
수정 아이콘
저래서 처음 대학 들어갔을때 엄청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한 2년동안 고생하다가 3학년때부터 정신차렸던걸로...
겨울삼각형
20/10/07 14:55
수정 아이콘
전공에 따라 다를거 같습니다. 전 공대생 이어서 교수님이 강의하신내용의 절반도 이해 못했었습니다.
20/10/07 15:02
수정 아이콘
학부도 그렇지만 고등학교부터 그렇지 않나 싶네요.
고등학생 때부터 수업시간에 배우는 것보다 혼자 문제 풀고 찾아 보면서 배운 것이 더 많았던 거 같은데.
내신을 포기한 학교라 그런지 저포함 학교 친구들이 수업을 더 안들었던 점도 한몫 한거 같구요.
단순 자격증 시험 등 주입식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 외엔 모든 공부는 자기가 하는 게 맞는거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학부 공부가 더 그렇다고 느끼는건 중고등학교 때보다 자율적으로 공부를 해야하고 교수님들이 수업시간에 배운 것만으로 풀수 없는 문제들을 내기 때문..이 아닐까요.
20/10/07 15:05
수정 아이콘
교수의 강의는 결국 교수자가 정한 교과서 하나의 이해를 도와주는 거죠.
근데 게임분석만 해도 여러 자료를 참고하듯이 학문의 공부는 결국 스스로 이런 저런 거 찾아보면서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20/10/07 15:20
수정 아이콘
뭐 당장 중고등학교 공부도 수업만 들어서는 고등급 받기 어렵지 않나요?
Wild Surge
20/10/07 15:26
수정 아이콘
좀 과장해서 말하면 공부는 원래 혼자하는 거고 학교는 사람 만나러 가는 곳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교수의 수업을 들어도 수업만으로는 모든 것을 배울 수 없습니다.
Ragamuffin
20/10/07 15:34
수정 아이콘
혼자서 해야 하는 부분이 있지만 좋은 선생님이 있으면 효율이 극대화되고 미처 사소하게 지나칠 만한 중요한 부분도 볼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좋은 선생님 만나는 것도 행운인 듯 합니다.
레필리아
20/10/07 15:39
수정 아이콘
전공 뿐만 아니라 앞으로 살면서 해야 할 모든 공부는 스스로 찾아서 해야 합니다. 모르면 손해볼 일이 많고요.
맛있는새우
20/10/07 15:44
수정 아이콘
누군가 이끌어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본인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는 겁니다.
qpskqwoksaqkpsq
20/10/07 16:24
수정 아이콘
전 초중고 다 혼자했어서.. 인강도 딱 4개 들었네요. 대학강의는 수업시간에도 거의 안듣고 딴짓했는데 연습문제 열심히 풀면 학점 잘 나왔습니다. 사실 강의는 빡집중해서 들어도 다 이해가 힘들었어요 대강 얼개만 알겠다 싶은 정도지
코돈빈
20/10/07 16:31
수정 아이콘
초중고 -> 학부 -> 석사 -> 박사 올라갈수록 알아서 공부하게 되는것같아요
긴 하루의 끝에서
20/10/07 17:10
수정 아이콘
전공이나 교수의 개별 스타일에 따라 다르겠지만 고등 교육 과정에서 교육자의 역할이란 공부의 소스와 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정도만을 덧붙인 채, 학습자가 수업 또는 자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갖게 되는 질문 사항에 추가적으로 답변을 해주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교육자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그 이상으로 학습자의 역량, 학습 의지, 적극성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법이고요. 아는 만큼 보이고, 하는 만큼 가져간다의 가장 적절한 예시가 아닐까 싶습니다.
20/10/07 18:31
수정 아이콘
대학교 2학년때까지 엄청 스트레스 받았습니다
강의 시간에 가르쳐주는 거로는 내용 자체가 턱없이 부족했고 참고할만한 책은 대부분 영어 원서고..
다른애들도 비슷하겠지 했는데 절반에도 못미치는 시험성적
나중에 알고보니 전년도 시험지에서 절반이상이 같은 내용이더군요.
아싸라 3학년 가서 알게됐네요..

공부자체는 최소 한학기분량 다 배워야 이해가 가기 시작하더군요
교수들이 학생들 기초지식 신경안쓰고 자기지식기준으로 가르치니 애초에 이해자체가 불가능 했었습니다
3학년쯤 되니 요령도 좀 붙고 원서 읽을 기초지식도 쌓이고 해서 할만 했네요.
교수들이 학부생 가르치는데 큰 투자를 안합니다.
학부생 가르치는데 신경쓰는 교수님 딱 두 분 봤습니다
참 고마운 분들이였는데 이게 대학학비 생각하면 당연해야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참..
풀풀풀
20/10/08 00:07
수정 아이콘
좋은 스승은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람 아닐까요 괜히 자기주도학습 학원이 있는게 아니더군요 크크
20/10/08 00:27
수정 아이콘
대학원 가서 공부하다가 학부 교과서를 보면 “이게 이런 의미였구나!” 하고 무릎을 탁 치게 됩니다.

반농담이지만, 일하면서 배우는게 생각보다 많아요.
반대로 말하면 내가 이거로 일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단순 쑤셔 넣는 지식은 생각보다 오래 안갑니다.
미카엘
20/10/08 01:5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모르는 것 있으면 교수님 연구실들 찾아 다니면서 꾸준히 질문했습니다. 공부 잘 하는 친구들과 스터디도 자주 하고.. 책보다 대화를 통해 더 많이 배운 것 같습니다.
김곤잘레스
20/10/08 10:33
수정 아이콘
애초에 공부란게 다 그렇습니다. 인강만 백날봐봐야 머리에 남는게 하나도 없죠. 공부했다는 느낌만 남을뿐이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9185 [질문] 전기 승압 공사를 해야하는 상황인가요? [4] 약쟁이6198 20/10/10 6198
149184 [질문] 라이트닝 케이블 사려고 하는데 어떤게 좋아요? [3] 사람은누구나죽습니다4534 20/10/10 4534
149183 [질문] 남양주 데이트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 Genius4677 20/10/10 4677
149182 [질문] 롤드컵 생방송 중에 그 날 방송 처음부터 볼 수 있나요? [14] 하얀마녀5306 20/10/10 5306
149181 [질문] 윈10 부팅usb 만들다가 오류나고 usb인식이 안 됩니다..; [2] nexon6874 20/10/10 6874
149180 [질문] 플5 질문입니다. [2] Leon4314 20/10/10 4314
149179 [질문] 인텔 cpu 정품 vs 벌크 [7] 프라임에듀7814 20/10/10 7814
149178 [질문] 오늘 용산 영업 안 하나요? [5] 크리스 프랫5532 20/10/10 5532
149177 [질문] (혐주의 ,애벌레주의) 무슨 벌레일까요?? [2] 夢狼6131 20/10/10 6131
149175 [질문] gtx 1660s 쓰는거 괜찮나요? [4] newness6201 20/10/10 6201
149174 [질문] 조립 컴퓨터 사양 관련질문입니다. [8] 헛스윙어5057 20/10/10 5057
149173 [질문] 쇼미더머니8 질문입니다. [2] 부기영화4742 20/10/10 4742
149172 [질문] DDR5가 나온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3] 블랙박스6576 20/10/10 6576
149171 [질문] 갤럭시탭에서 인터넷을 풀스크린으로 보기 [5] ArcanumToss12586 20/10/10 12586
149170 [질문] 간호대학을 어디로 갈지요 [5] 푸들은푸들푸들해6178 20/10/09 6178
149169 [질문] 인터넷 단자함 구조 좀 아시는 분 계신가요? [3] 앗흥5055 20/10/09 5055
149168 [질문] LOL)레드가 선픽하는건 어떨까요? [1] 맹물5254 20/10/09 5254
149167 [질문] 이번 롤드컵 c조 경기보신분들에게 질문드립니다 [8] 삭제됨4977 20/10/09 4977
149166 [삭제예정] 강남-역삼 근처 소개팅할만한 스시집 추천좀 해주세요 [4] 마포대교6435 20/10/09 6435
149165 [질문] 형사재판에서 선고 받은 뒤에는 어떻게 되나요? [3] 똥꾼5064 20/10/09 5064
149164 [질문] 강남에서 운전면허 따기 쉬운 루트 있을까요? [1] 삭제됨4928 20/10/09 4928
149163 [질문] 차량 배터리를 갈아야 할 것 같은데, 꼭 정품을 써야할까요? [7] 느린발걸음5175 20/10/09 5175
149162 [질문] 행거 질문입니다. [2] 교자만두5561 20/10/09 55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