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27 20:41:25
Name I.A.L
Subject [질문] 집(자가)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건가요?
현재 평일에는 회사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고 주말에는 부모님댁에서 휴식을 하는 패턴으로 살고있는데,

나중에 기숙사 생활이 끝난다든지 이직하게 되면 사는 곳을 구해야 하긴 할 텐데, 굳이 집을 사기위해 빚까지 내서 한 달에 거액의 대출금을 갚는 행동을 하는 게 맞는건가요?

차라리 대출이자+원금 낼 돈으로 투자(!)를 하고 부모님 댁에서 얹혀살든지 월세 낮은 곳에서 사는 건 별로일까요?

아, 그리고 결혼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제 상황에서 집(자가)이 필요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로몬아돌
24/05/27 20:43
수정 아이콘
부모님에 얹혀 살 수 있음 그게 최고입니다. 미혼인데 무리하게 집 살 필요가 없죠. 결혼 하시면서 사셔도 되고,
저 같은 경우에는 지방에서 서울 올라와서 23년째 거주인데, 월세 전세 살다가 자가 있어보니 있고 없고가 아무래도 좀 큽니다.
24/05/27 21: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4/05/27 20:48
수정 아이콘
지금이 딱 좋습니다. 수도권이 아니라면 전국적으로 집값이 내려가는게 정배라 나중에 필요할때 마련하세요.
24/05/27 21:24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Alcohol bear
24/05/27 20:51
수정 아이콘
나중에 두분 돌아가시고 집은 낡아갈텐데 어디로 옮기시려구요
24/05/27 21:25
수정 아이콘
대충 원룸 생각하고 있긴합니다.
돔페리뇽
24/05/27 20:52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 나가라고 할 가능성도.... ㅠ
24/05/27 21:25
수정 아이콘
아직까지는 괜찮긴한데 그럴수도 있겠네요.
24/05/27 21:07
수정 아이콘
저도 사고 싶은 집은 가격이 현금+ 대출로 커버가 안되고 자산을 팔아서 구해야 하다보니 별로 안 내키더라구요 어지간하면 평생 전세나 월세 살 듯
24/05/27 21:26
수정 아이콘
전세사기가 하도 많아서 월세로 생각중입니다.
24/05/27 21:14
수정 아이콘
부모님과 이에대한 의견교환 및 본인이 얹혀사는것에 대한 부담감이 없다면 가능합니다.
24/05/27 21:26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24/05/27 21:26
수정 아이콘
저도 예금이자 배당 등으로 100쯤 나오는데 부모님하고 살면서 용돈 많이 드리고 생활비 많이 보태고 살고 있습니다.
적당한 금액의 집은(구축) 일시불로도 가능한 상황인데 독립도 땡기지만 너무 비효율적이라 일단은 의탁하고 있습니다.
결혼 안하게 된다면 저도 월세로 살 것 같네요.
24/05/27 21:50
수정 아이콘
오 제 생각하고 비슷하시네요.
이오니
24/05/27 21:43
수정 아이콘
2억을 고정금리 3%로 20년동안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갚는다고 쳤을 때, 대충 월 55만원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월세 살기로 했습니다.
24/05/27 21:52
수정 아이콘
저도 20년, 30년 이런 긴 기간동안 갚아야 한다는 생각이 너무 압박이 크더라구요.
24/05/27 21:46
수정 아이콘
무조껀 사는게 맞습니다.
24/05/27 21:53
수정 아이콘
집값이 결국 우상향한다는 의견이라고 봐도 될까요? 의견 감사합니다.
24/05/27 22:56
수정 아이콘
수도권은요~~ 특히 강남 서초 용산 성동은
엘브로
24/05/27 22: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기적으로는 정책, 공급, 금리, 심리등의 영향 받으니 불확실하다쳐도 장기적으로 10년뒤, 20년뒤는 지금 집값의 수배는 올라있을겁니다.
자본주의는 통화량이 계속 증가하면서 발전할 수 밖에 없는구조라 물가도 오르고, 내 월급조차 오르는데, 자산도 당연히 가격이 오를수 밖에요.
월 100만원 이자가 지금은 부담스러워도, 20년뒤에도 부담스러울까요? 아마 짜장면 가격일지도 모르죠
물론 인구소멸 지역이나 비선호 주택은 어려울수 있고요
24/05/27 22:59
수정 아이콘
그럴수도 있겠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그말싫
24/05/27 22:12
수정 아이콘
심리적 안정감도 무시할 수 없죠.
집만 있으면 라면 값만 벌어도 먹고 살 순 있으니...
다만 저도 자녀가 없었다면 그냥 월세 내고 여기저기 살다가 그냥 갔을 거 같긴 합니다.
24/05/27 22:59
수정 아이콘
네 고민이 많네요.
24/05/27 22:25
수정 아이콘
이 문제는 결혼여부가 핵심이라봅니다
24/05/27 23:00
수정 아이콘
결혼은 안 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김꼬마곰돌고양
24/05/27 22:26
수정 아이콘
저는 내 집이라는 것이 제 자존감과 안정감에 영향을 주더라고요.
24/05/27 23:00
수정 아이콘
분명 내 집이라는게 있으면 든든하긴 할거 같네요.
24/05/27 22:38
수정 아이콘
퇴직하고 이런분들 보면, 집이 있냐 없냐가 삶에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칩니다.
주거안정성이 확보되었느냐, 안되었느냐가 생활비를 비롯한 모든 부분에 영향이 있어서..
당장은 필요 없으실텐데, 장기적으로는 크든 작든간에 자가를 확보하는게 이후의 삶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4/05/27 23:01
수정 아이콘
확실히 있으면 좋긴한데 문제는 역시 돈이....
항정살
24/05/27 22:51
수정 아이콘
대출이자 원금으로 투자로 번돈으로 뭘 하시고 싶은건가요?
24/05/27 23:02
수정 아이콘
뭘 한다기보다 저는 집값이 지금보다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서 그렇습니다.
항정살
24/05/27 23:16
수정 아이콘
서울 수도권 무조건 오릅니다. 지방이 소멸 될수록 남은 사람들은 죽은 도시가 아닌 모두 위로 몰리게 되있습니다.
24/05/28 09:3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산업화 초창기 이촌향도를 생각해보면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 수도권은 무조건 오릅니다.
하우스
24/05/27 22:58
수정 아이콘
집 구매도 실거주를 하든 안하든 투자죠
대출이자만큼 나중에 팔 때 집값이 더 오를거다라고 생각하면 집은 사는게 나을거고 (다른 투자 수익률이 더 높을거라고 생각하면 당연히 그 투자를 하면 되구요)
집값이 더 떨어질거라고 생각하면 집 구매를 안하는거죠
그런데 역사적으로 봐도 부동산 침체기때 괜찮은 곳의 부동산 투자는 실패하기가 어렵긴 하죠
24/05/27 23:03
수정 아이콘
고민이 많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사비알론소
24/05/27 23:02
수정 아이콘
투자를 부동산에 하느냐 다른곳에 하느냐
주기적으로 이사를 감수하느냐 마느냐
시세 변화로 인한 강제 이사를 감수하느냐 마느냐
세대주가 아니라서 인테리어가 매몰비용이 되거나 제한이 생기는걸 감수하느냐 마느냐

등등 잘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정답은 없겠죠.
24/05/27 23:04
수정 아이콘
이사비용도 생각을 하긴 해야겠네요.
사비알론소
24/05/27 23:17
수정 아이콘
비용도 비용입니다만 살림 늘어나면 짐싸고 하는것도 일이지요
독신으로 미니멀하게 사시면 이건 큰 문제 없긴합니다 자차로 후루룩 해버리면 되니까
24/05/27 23:05
수정 아이콘
미래를 완벽히 예측할순 없겠지요. 전 적어도 실거주 목적으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4/05/27 23:38
수정 아이콘
어렵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larrabee
24/05/27 23:40
수정 아이콘
집도 투자입니다
한국에서 레버리지 제법 크게 일으킬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안정적이기까지 한 깔고 앉을 수 있는 자산입니다
심리적 안정감은 덤이죠
24/05/29 19:27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합니다.
24/05/28 00:28
수정 아이콘
지평을 넓혀서 보면 에센피500에 적립식으로 사는게 더 우월한 투자법이긴 합니다.크크
24/05/29 19:27
수정 아이콘
그래서 고민이 많네요.
24/05/28 00:57
수정 아이콘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없어도 그만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공임대주택 거주가 한 예가 될텐데, 한 단지에서 20년 이상 염가의 임대료를 내며 편한 마음으로 사는 사람들도 꽤 있어요. 예전엔 결혼은 꼭 해야 한다, 아이는 꼭 낳아야 한다고 생각해왔던 것이 시대가 흐르자 손쉽게 부정당한 것처럼 내 집이 꼭 있어야 한다는 말도 '있으면 좋다' 정도로 변해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세계적으로 보면 그게 오히려 스탠다드일 수 있을 거고요.
이 문제를 조금 더 주거복지적으로 접근한다면, 다른 예로 '위스테이별내'라는 사회적협동조합 아파트를 참고해볼 수 있을 듯합니다. 저는 해당 사회적협동조합의 가치관이 아주 흥미롭더라고요. 집이 재산증식의 수단이자 현재를 저당잡혀야 하는 짐이기보다는 건강한 공동체 속에서 지금 현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기를 바라는 분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운영되는 아파트인데, 현재까지는 상당히 성공적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단지 내 시설들(피트니스 같은 건 물론이고 공용주방, 공용목공실, 공용실내체육관, 공용합주실 같은 것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이 꽤 훌륭한데 비해, 거주자들이 매월 내는 돈은 집의 임대료 5만원, 커뮤니티이용료(겸 조합비?) 5만원, 그리고 관리비 정도라고 하더군요. 앞으로 큰 숙제가 몇 가지 남은 곳이긴 하지만 시사점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24/05/29 19:28
수정 아이콘
사회적협동조합 아파트 하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이른취침
24/05/28 04:04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집을 사는 건 부동산 상승에, 안사는 건 하락에 베팅을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것도 기간과 위치에 따라 다를 거구요.
집은 레버리지도 쉽게 일으킬 수 있어서 상승할 거라 생각하는 곳은 살 수 있을 때 사는 게 좋다고 볼 순 있습니다.
24/05/29 19:29
수정 아이콘
네. 의견 감사합니다.
마술사
24/05/28 06:51
수정 아이콘
1. 인플레이션 헷지수단?
주식, 채권, 금 등 투자옵션이 많은데 왜 부동산인지?
특히 미국주식 접근성이 좋아진 지금시점에서, 월세가 배당만큼도 안되고 감가가 있고 심지어 세금도 내야하는 부동산이, 미국주식대비 좋은 이유는?
2. 수도권은 "무조건" 오른다?
자율주행, 광역교통망, UAM발달 등으로 인해 물리적거리가 의미가 없어지게되면 수도권의 장점이 없어질 수도 있는데 정말 무조건 오를까?
3. 심리적 안정감?
부모님집에 사는것보다 따로 굳이 빚 져가며 따로 집을 사는게 더 심리적 안정감이 생긴다?? 왜?
24/05/29 19:29
수정 아이콘
제 생각과 비슷하시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superiordd
24/05/28 07:13
수정 아이콘
부동산 가격 방향을 맞추는 것은 주식 가격 향방을 아는 것과 비슷하겠죠(모두가 미래를 알면, 부자가 되겠죠). 결국 투자 여력과 이자 부담에 따라 관점이 다를 것 같습니다. 수도권, 서울은 오른다고 보는 관점도 있고 그 반대도 존재하고, 지방은 어렵다가 일반적 관점 같긴 하네요. 다만, 투자 목적이라면 본인이 잘 아는 대상이 필요할텐데 급하지 않으시다면 주식, 채권, 부동산 모두를 공부하시고 잘 맞는 걸 취사선택하세요.
24/05/29 19:29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PARANDAL
24/05/28 07:30
수정 아이콘
부모님과 사는게 불편하지 않으시면 돈아끼면서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부동산은 보통 빚을 내서 투자를 하기에 조금만 올라도 이득을 많이 보는데
주식은 빚내서 하기 쉽지 않기에 수익률은 좀더 높아야 할거에요

집살 돈이 있으시면 좋은 위치에 집 사시고 룸메를 들여서 수익을 좀 내는것도 좋다고 봅니다.
24/05/29 19:30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합니다.
Grateful Days~
24/05/28 07:38
수정 아이콘
그 투자란것을 하다가 망하는게 십상인지라.. 안정적인 저축 채권같은걸로 오므시고

결국은 인플레이션을 이길수있는건 실물자산인지라.. 괜찮은 입지로 집을 사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급하게 집을 마련하실 필요는 없는 시기인듯합니다만..
24/05/29 19:30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합니다.
24/05/28 08:11
수정 아이콘
1. 기본적으로 부동산은 희소성을 지닌 안정성이 높은자산임

2. 오를때 미친듯이 오른다고하지만 04년기준으로 비교해보면 20년에 3배오르는 자산으로 어마어마하지는 않음

따라서 기타투자자산으로 잘굴리면 그깟 부동산이지만, 대부분은 부동산이기는게 쉽지않음
24/05/29 19:31
수정 아이콘
결정하기 쉽지않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카오루
24/05/28 08:46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반은 투자죠... 부동산 그냥 무지성으로 사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어디에 어느부동산이냐가 너무 중요하죠
당장 100대1 1000대1나오는 부동산은 부담되건 뭐건 당첨되면 아이고 감사합니다.하고 지르는거고, 수도권의 어디처럼 8억원대의 분양가에 계약률 10프로 될까말까 하는데는 당첨을 시켜줘도 왠만하면 안들어가는게 맞는거고.. 현명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24/05/29 19:31
수정 아이콘
네 의견 감사합니다.
24/05/28 08:48
수정 아이콘
필요없으면 안사도 됩니다.
그런데 결혼하고 어쩌고 하면 필요해 질수도 있는거구요.
괜찮은 입지의 부동산의 안정성과 수익률을 장기적으로 이기는게 쉬운일이 아니에요~
24/05/29 19:32
수정 아이콘
부동산이 안정적이긴 하죠.
Far Niente
24/05/28 08:58
수정 아이콘
네.
마인드가 집이 없어도 되는 소수에 속한다면 모르겠으나 사람 생각은 지금 다르고 10년 후가 달라서 장담할 수 없고
결국 다수가 원하는 자산엔 이유가 있는 거죠
24/05/29 19:33
수정 아이콘
하긴 괜히 많은 사람들이 집 사는건 아니겟죠. 의견 감사합니다.
24/05/28 09:13
수정 아이콘
없어도 되긴합니다.
다만 있으면 확실히 안정감은 있습니다.
무지성 구매는 절대 비추입니다. 결국 우리나라 1인당 GDP따라서 집값이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예전보다 훨씬 잘선택해서 골라야합니다.
우리나라가 1인당 GDP시대를 중국때문에 열었다면 지금은 인구가 줄어드는게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무엇인가가 있어야 5만불대로 갈텐데
상당히 난해한건 사실입니다. 거기에 지방소멸이 거의 확실시된 상황에서 지방에 어줍잖은 아파트 사면 평생 애물단지 될 수 있습니다.
직장과 인구 특히 어린아이가 많은 곳 아파트를 사셔야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경기도가 되겠네요. 서울에서도 잘고르셔야 합니다.
24/05/29 19:35
수정 아이콘
지역도 정말 중요한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카즈하
24/05/28 09:14
수정 아이콘
결혼생각 없으시면 굳이 안사셔도 되긴하져
24/05/29 19:35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은 하는데 고민되긴 하네요.
24/05/28 09:15
수정 아이콘
떨어진다고 생각하시는데 저는 약보합 속 인플레이션 헷지 겸 깔짝깔짝 상승한다고 생각해서..
인플레이션 헷지 및 투자실패 방지 이것도 커요
24/05/29 19:36
수정 아이콘
부동산을 헷지수단으로 사용한다는 의견 감사합니다.
브이올렛
24/05/28 09:21
수정 아이콘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는 편이라면 굳이 부동산이 아니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투자자중에서는 거액을 부동산에 깔고 있는게 너무 아까워서 월세살면서 투자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24/05/29 19:38
수정 아이콘
저도 지금은 비슷하게 살고 있는데 이게 맞는지 질문 올려봤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아스날
24/05/28 09:27
수정 아이콘
결혼 안하고 금전적인 여유가 없으면 안사도 되죠.
24/05/29 19:3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MurghMakhani
24/05/28 09:31
수정 아이콘
평생 한국 살 거면 있는 게 좋죠 그게 지금 당장 빚 잔뜩 내서 해야 할 일이냐는 사람 상황에 따라 다른 거고..
24/05/29 19:39
수정 아이콘
1채정도는 있는게 좋은거 같기도 하고 생각이 왔다갔다 하네요.
미숙한 S씨
24/05/28 09:39
수정 아이콘
뭐, 판단이야 본인이 하시면 됩니다만, 대한민국의 경제적 관점에서 봤을때

집이 1채 있는게 '중립'에 거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뭔 소린지 헷갈릴 수 있으니 쉽게 풀어드리자면..
집을 안가지고 있는건 '장기적으로 집값이 떨어질것에 배팅한다'
집을 1채 가지고 있는건 '장기적으로 집값이 오를지, 떨어질지 모르겠다. 그냥 내가 평생 끼고 살 집 한채만 안고간다.'
집을 여러채 가지고 있는건 '장기적으로 집값이 오를것에 배팅한다'

이런 개념이거든요.

그래서 '장기적으로 집값이 떨어질거야. 틀림없어!'라 생각하는게 아니라면, 집한채는 가지고 있는 걸 가급적 권장드리는 편입니다.
24/05/29 19:40
수정 아이콘
집 1채는 중립이다. 메모 해 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4/05/28 09:49
수정 아이콘
집값이 떨어질 거라고 생각하면 사지 마세요
24/05/29 19:40
수정 아이콘
네 알겠습니다.
43년신혼1년
24/05/28 10:26
수정 아이콘
혼자살 때(+ 부모님 집에서 얹혀살때) 는 딱히 자가의 필요성을 못느꼈는데
결혼하고 나니 자가의 필요성이 생기더군요.
특히 내집을 마음대로 꾸민다는 부분은 전세나 월세에서는 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서
결혼하고 전세로 살다가 이번에 좀 무리해서 대출 받으면서도 매매를 하기로 했습니다.

반대로 혼자 살고, 집 꾸미는거에 큰 신경을 안 쓰신다면 적어두신 방법도 나쁘진 않죠.
다만 부모님 집에서 함께 사는게 아닌 월세나 전세로 사는건 그 집에서 계속 살수 없다는 디메리트도 있으니 그런 부분은 생각해 보시는게 좋고요.
24/05/29 19:40
수정 아이콘
확실히 결혼 하게되면 집이 있는게 맞는거 같긴하네요.
평온한 냐옹이
24/05/28 10:29
수정 아이콘
결혼생각없으면 사지 말라고 하시지만
집을 사시면 결혼생각이 드실수있어요.
24/05/29 19:41
수정 아이콘
집을 사면 결혼생각이 든다라... 설득력 있네요.
모나크모나크
24/05/28 10:36
수정 아이콘
집도 소비하는 부분이 있어요. 마음에 드는 집에 사시는 것도 효용이 크답니다.
24/05/29 19:41
수정 아이콘
집 생각없어도 막상 사면 좋을거 같기도 하네요.
24/05/28 10:36
수정 아이콘
음.. 투자든 원화채굴이든 뭐든 해서 잘되어 돈이 좀 모이면 집을 사게 됩니다..
24/05/29 19:42
수정 아이콘
돈 잘 버는 사람들이 집부터 사는거 보면 괜히 집 사는게 아닌거 같긴 합니다.
24/05/28 11:15
수정 아이콘
어제 확고했던 생각이 오늘 달라질 수 있는것이 사람의 마음이니 너무 배제하지만 않으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24/05/29 19:42
수정 아이콘
네 알겠습니다.
24/05/28 11:19
수정 아이콘
금전적인걸 빼면

무주택 - 집값이 떨어진다
실거주 1주택 - 중립
비거주 1주택 or 다주택 - 집값이 오른다

에 거는 개념입니다..

실거주 1주택은 집값이 오른다/떨어진다 보다도 '그냥 오르던 떨어지던 최소한의 리스크 헷지를 한다' 는 개념에 가깝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실거주 주택을 '보금자리론 30~40년 고정금리'로 살 경우
-> 내가 매년 얼마 내야 되는지 30~40년 분량이 정확하게 정해집니다.
이거는 '집값이 폭등해도 안변하고, 집값이 떡락해도 안변하고, 월세가 폭등해도 안변하고, 월세가 폭락해도 안변합니다'

즉 실거주 1주택은 '집값이 오르던 내리던 내 주거비용이 변하지 않게' 만드는 거라서 중립적인 리스크 헷징이라고 부르는거고..


비거주 1주택이나 다주택은 당연히 집값 오르는거에
무주택은 당연히 집값 내리는거에 배팅하는 개념인거죠..
24/05/29 19:43
수정 아이콘
무주택-하락, 실거주1주택-중립, 다주택-상승 메모해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아아아암
24/05/28 11:50
수정 아이콘
아니요
24/05/29 19:44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합니다.
이민들레
24/05/28 15:09
수정 아이콘
집은 직접 사용하는 가치와 투자적인 가치 두가지 방향에서 보고 직접 고민하시면 됩니다.
직접 사용하신다면 월세+ 집값상승분 vs 같은돈을 투자했을때 얻는 소득(은행이자 주식 채권 등등)

비교해보시면 될듯요
24/05/29 19:44
수정 아이콘
네 비교 잘 해보고 결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4/05/30 01:13
수정 아이콘
고소득 근로자라면 소득공제 혜택이 큽니다. 5억원 아파트를 40년 4% 4억원 대출 받아서 구매하면 매년 1600만원 소득공제를 받습니다. 소득세 구간이 높으면 아끼는 금액이 커지죠.

가령 24%(26.4%) 구간이면 422만원을 연말정산 때 돌려받으니 이자 부담이 많이 줄어듭니다. 5억원에 대한 기회비용을 고려하면 매매로 부담하는 금액은 매년 1600만원 정도인데 5억원 아파트는 월세로는 보통 연 1200~1400만원 정도 부담하게 되므로 매매와 월세의 거주 비용이 크게 차이가 안 납니다. 만약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매매 하는 것이 매우 유리한 선택이 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471 [질문] 마이크 타이슨 vs 유튜버 경기 아직 안했나요? [1] 완성형폭풍저그4556 24/05/30 4556
176470 [질문] 패키지여행 혼자 가보신분? [3] 삼성시스템에어컨4117 24/05/30 4117
176469 [질문] KT 인터넷이 자꾸 끊깁니다 [6] 와구와구하지망4300 24/05/30 4300
176468 [질문] 현 상황에서 코인 파는게 맞을까요? [18] K57216 24/05/30 7216
176467 [질문] 부동산 특약에 적힌 내용을 따라야 하는 관계자는 어디까지일까요? [4] 43년신혼1년4343 24/05/30 4343
176466 [질문] (뻘궁금 주의) 컴퓨터 사용 시간 [14] 니체5188 24/05/30 5188
176465 [질문] 부모님 컴퓨터 견적 이륙 허가 부탁드립니다~ [7] LCK제발우승해5572 24/05/29 5572
176464 [질문] Lol 오류때문에 삭제하고 싶은데 삭제가 안됩니다 [2] 엔쏘5199 24/05/29 5199
176463 [질문] psn 카카오페이 결제가 안 됩니다 [2] 김경호4944 24/05/29 4944
176462 [질문] 무알콜 맥주 중에 맥주와 가장 비슷한 게 뭘까요? [21] 아엠포유6473 24/05/29 6473
176461 [질문] 혹시 이 제품 영양정보 당 함유량이 왜 0% 인지 아시는 분 있을까요? [10] 코기토5690 24/05/29 5690
176460 [질문] 해운대역 근처 맛집 문의 드립니다. [15] 수타군4715 24/05/29 4715
176459 [질문] 계란 유통기한 잘 지키면서 드시나요? [12] 라리6773 24/05/29 6773
176456 [질문] 데스크탑 견적 요청 드립니다 [8] 키작은나무5266 24/05/29 5266
176455 [질문] 요즘 sns에서 많이 보이는 모발이식 광고 질문이요! [2] 여포4089 24/05/29 4089
176454 [질문] 22개월 아기가 화를 낼때 분노(?)를 합니다. [23] 카즈하6156 24/05/29 6156
176453 [질문] 전세대출 개념이 궁금합니다. [16] 수지짜응5043 24/05/29 5043
176452 [질문] 라오스 여행 갑니다. [2] BISANG4220 24/05/29 4220
176451 [질문] 경력 없는 사회과학 박사 수료생(혹은 중도포기생?)에게 맞는 일자리 옵션이 있을까요? [12] 휵스4444 24/05/29 4444
176449 [질문] 슬랙, 디스코드 등 알림이 잘 안오는 문제 [4] 붕붕붕4356 24/05/29 4356
176448 [질문] 온라인으로 비행기 티켓을 구매했는데 발권 안된 상태에서 수수료없이 취소 가능한가요? [6] 씨드레곤5625 24/05/28 5625
176447 [질문] 헬스 고수님들 봐주세요 [20] 젤리롤5586 24/05/28 5586
176446 [질문] 데스크탑에 무선랜 기능이 없으면, 무선랜카드 USB 타입 꽂으면 되나요? [7] LG의심장박용택5497 24/05/28 54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