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6/04 15:47:02
Name 몽땅패하는랜
Subject 스타크래프트를 사랑한다는 것은?
저는 프로게이머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다만, 프로게이머가 된다는 것은, 어느 한 분야에서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상당한 희생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어느 분야나 마찬가지일테지만요).
지금 프로게이머로 우리들의 사랑을 받는 임요환, 홍진호, 조정현 선수. 그리고 서서히 관심을 집중시키는 강민, 이재훈, 김현진 선수(혹 빠진 선수가 있다고 너무 노여워하지는 마시기를……).
그들은 우리가 모르는 시간에(그들이 방송리그에 나와 알려지기 전에) 많은 희생을 겪어야 했을 것입니다. 너무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친구와의 즐거운 시간을, 피곤한 몸을 쉬게 할 수면 시간 등을 줄여가면서 하루 왼종일 어두컴컴한 피씨방 한 구석에서 스타를 연습했을 것입니다.
그래도 사람들의 눈에 띄어 프로게이머가 되고, 승패가 쌓이면서 스타팬들의 시선을 끌게 되고, 인기를 얻게 되는 경우는 그나마 다행일 것입니다.
비록 프로게이머이지만 아직도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못하고, 때문에 고생에 비해 이렇다 할 보람이나 보수 없이 어려운 생활을 이어나가야 하는 많은 무명선수들이 있을 것입니다.
어느정도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이곳 피지알에서 열악한 프로게이머들의 환경에 대한 글을 읽다보면 답답하고 아쉬운 마음이 들더군요,(특히 정일훈 캐스터의ꡒ더이상 프로게이머를 주유소 아르바이트 생으로 만나는 것을 보기 싫습니다ꡓ라는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얼마전 한 지역민방의 스타관련 방송에서 크다면 크고 사소하다면 사소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같은 팀 소속의, 그것도 잠시 현역을 떠났다가 돌아온 노장 프로게이머와 방송리그 애청자들에겐 익숙하지 않은 신진 프로게이머의 경기.
경기가 끝나고 많은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어떤 분은 분노마저 느꼈다고 표현할 정도로 상대에 대한 배려나, 기본적으로 프로게이머가 가져야 할 경기의식 같은 것이 없다고 많은 분들이 비판했습니다(비난이 아닙니다)
다행히 이곳 피지알에서도 이야기가 되었지만 다른 게시판의 경우에 비교하면 너무도 점잖고 무조건적인 비판보다는 앞날이 긴 선수이니 다음을 지켜보자는 신중한 의견들이 많았습니다.
그런 의견들을 읽으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때, 그 경기 중에 그 선수의 마음은 어땠을까. 그 선수 역시 자신도 지금 많은 스타 팬들의 사랑을 받는 선수들처럼 되겠다는 일념으로 많은 시간을 스타에 매달렸을 것입니다. 당연히, 다른 많은 것들을 희생해야 했겠지요. 그리고 거의 무명인 상태에서(다만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입니다.) 처음이나 다름없는 방송 경기. 상대는 같은 팀의 대선배격인 선수였고 심지어 해설석에도 같은 팀의 동료가 앉아 있는 상황. 아마 그 선수는 꼭 이기고 싶었을 것입니다.(승부욕이 없는 프로게이머가 있을 리가 없겠지요), 그래서 그는 이기는 방법만을 계속 생각했을 것이고 어쩌면 그 때문에 시야가 좁아지고 사고가 단순해졌을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이겨야 한다는 일념으로, 때문에 모험보다는 안전위주로 경기를 운영해나갔을 것이고 되도록이면 상대에게 반격의 빌미를 주기 싫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경기는 이겼습니다. 그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을 것이고 이겼다는 기쁨을 만끽하고 싶었을 것입니다.(다만 한 경기의 승리로 그친다 해도 말입니다)
그런데 경기 후 여기저기서 그를 비판하는 의견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합니다. 어? 왜 이러지. 나는 다만 지기 싫어서 그랬을 뿐인데.... 그는 당황했을 것입니다. 어쩌면 돌아온 숙소에서 그를 맞이하는 팀원들의 얼굴에도 불편함이 어려 있을수도 있습니다. 왜들 그러지? 그는 아마 자신이 했던 경기내용을 곰곰 되씹어 보았을 것입니다. 그는 그런 다음에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아, 이런 저런 연유로 내가 스타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실망시켰구나. 그리고 오랜만에 돌아온 선배게이머에게 자칫 큰 마음의 상처를 줄 뻔 했구나 . 아, 다음부턴 정말 열심히 연습해서 오늘의 실망스런 결과를 다시는 얻지 않도록 노력해야지”
“아니, 왜들 이러지? 나는 다만 이기기 위해서 내 딴에는 최선의 방법을 찾아갔을 뿐이야. 그런데 뭐 비매너라고? 프로게이머의 본분을 망각했다고? 아니, 이렇게 비판하는 사람들은 나만큼이나 시간을 버리고 고생을 해봤을까? 정말 너무하네...”

물론 좁디좁은 저만의 시각으로 본 것입니다. 그 선수가 경기후에 어떤 생각을 했을지는 정말 알 수 없는 일입니다. 다만, 제가 이렇게 이제는 수면 밑으로 가라앉고 잠잠해진 이야기를 뒷북으로 하는 이유는 다만 한 가지입니다.
그 선수가 이기고자 했던 것은, 그리고 승리한 선수에게는 견디기 힘들만큼 쏟아졌을 비판도 너무 박쥐적인 이야기지만(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단 한 가지 이유일 것입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사랑하니까.

스타크래프트를 사랑하기에 그는 열심히 컴퓨터로, 그리고 베넷으로 경기를 했을 것이고 어느 틈엔가 프로게이머가 되겠다는 생각을 했을 것입니다. 단순한 오락이 아닌 자신이 세상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표현수단이 된 것입니다.
오로지 승자만이 말을 하는 프로의 세계. 좀 과장해서 말한다면 승리를 위해서는 자신의 영혼을 악마에게라도 넘기겠다, 라는 극단론적인 마음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더구나 그 선수 역시 대부분의 프로게이머가 그렇듯 20대 초반의 혈기왕성한 청년입니다.
진다는 것의 쓰라림보다는 승리의 달콤함을 더욱 찾아다닐 나이라는 것입니다. 이기기 위해서는 무슨 짓이라도 한다. 경기에 나설때마다 그는 그렇게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그 선수의 경기를 비판하는 많은 분들의 심정도 조금은 이해가 갈 듯 싶습니다.(초보가 너무 건방진 발언을 하는 것 같습니다만.....)
스타 경기를 관전하는 분들은 프로게이머의 현란한 손놀림과 유닛 컨트롤, 그리고 기상천외한 전략이나 가공할 역전극을 이끌어내는 그들의 뚝심에 감탄하면서, 발매 5년이 넘도록 무궁무진한 전략과 전술이 계속 쏟아져나오는 스타의 다양함에 감탄하는 분들일 것입니다.
그러나 깨끗한 승리를, 진정한 실력 대 실력으로 빚어내는 승패의 드라마에 열광하는 분들에게 어쩌면 그 경기는 너무도 실망스럽고 화를 돋우는 경기였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 저런 식으로 경기하는 것이 프로게이머라구? 저건 말도 안 돼. 저건 승패를 떠나서 상대선수에 대한 예의가 아니야, 상대에게 떳떳하게 GG를 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지.
아마도 그것은 스타크래프트 경기가, 특히 프로게이머간의 경기는 서로의 최선을 다해서 떳떳하게 얻어내는 승리야말로 최고의 승리라는 우리들의 믿음이 있기 때문이겠죠,
대부분의 프로게이머에게 스타는 어쩌면 생애 처음으로 찾아온 첫사랑일수도 있습니다. 첫사랑이라는 것은 언제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있기 마련입니다, 때문에 첫사랑의 대상에게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때문에 자신의 형편은 생각하지도 않고 값비싼 것으로 상대에게 환심을 사려하고 무리를 해서라도 자신의 곁에 두려고 애를 쓸 것입니다. 그 선수는 자신이 스타를 사랑하는 방법이, 그리고 그 사랑을 얻기위한 하나의 상징이 승리였을 것입니다. 어떻게든 이기고 싶다(바꿔 말하면 어떻게든 그(그녀)와 좋은 사랑을 하고 싶다)라는 것이 당시 경기에 임하는 그의 태도였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그 선수에 대해 비판하는 여러분들도 비판의 전제에는 스타를 향한 사랑이 숨어 있을 것입니다(함부로 단정짓는 것은 위험하니까 이해하시겠죠^^;;;).
내가 아는 스타크래프트 경기는, 프로게이머의 경기는 이런 식이 아니다. 서로 최선을 다하는 진검의 승부가 아름다운 것이지. 저런 식으로 모양 사납게 승리하는 것은 오히려 스타를, 프로게이머들의 치열한 승부를 욕되게 하는 일이다.
아마도 그 선수를 비판하는 분들의 마음에는 이러한 의식이 숨어 있을 것입니다.

저는 그 선수를 옹호하고자 뒤늦은 반론을 제기하는 것도 아니고, 지난 일을 새삼스레 들추어내어 게시판을 어지럽히자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피지알과 스타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일반인들과(표현이 이상하지만 제 표현력의 한계로 말미암아) 프로게이머들 모두에게는 “우리는 스타를 사랑”한다는 의식이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물론 그 표현 수단은 당연히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프로게이머들에게는 승리라는 열매를 얻기위한 상상못할 노력이 사랑의 표현일 것이고, 일반관중들에게는 수준을 짐작할 수 없는 프로게이머들의 절묘한 솜씨에 감탄하고 경기를 분석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게이머를 응원하는 것이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일 것입니다.
다만, 어느 때에는 그러한 사랑의 표현이 때로는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고백이 아닌, 집착과 분노의 감정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승리에 집착한 나머지 실망스러운 경기를 보여준 프로게이머의 지나친 집착이나 그러한 경기에 분노한 나머지 무차별적으로 쏟아지는 혹독한 비판.

사랑한다는 것은 혼자만이 즐겨워서는 안된다고 감히 생각합니다. 사랑에는 언제나 자신의 즐거움 못지않게 대상을 향한 배려가 항상 요구됩니다. 다행스럽게 피지알은 이러한 완성된 사랑을 위해 노력하려는 움직임이 있기에 감히 이런 글을 올리게 됩니다.
아직 프로게이머들은 일반개념으로 볼 때 젊다못해 어리기까지 한 불안정한 연령층이 대부분입니다. 사회의 신고식을 아주 혹독하게 치르는 과정이라고 할까요. 어떤 면에서는 그들은 완성된 부분보다는 채워야 할 부분이 많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것은 프로게이머들이 만들어내는 승부의 마당에 관중으로 참여해서 같이 감탄하고 같이 기뻐하고 슬퍼해주는 우리들의 몫도 매우 클 것입니다. 다만 그들을 너무 우리들의 기준에 얽매어 굳어지게 만들기 보다는 가능성과 미래가 아직 창창한 그들이 뻗어나갈 수 있도록 따끔한 질책의 말보다는(물론 필요한 것입니다만 정도 이상은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조용한 격려와 박수가 아직은 젊다못해 어린 프로게이머들에겐 성장을 위한 좋은 비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써놓고보니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쓴 건지 모르겠군요(아~~허접의 비애 ㅠ.ㅠ)
-결코 어떤 비난이나 논쟁거리를 만들자는 목적으로 쓴 글은 아닙니다. 그냥 뭘 모르는 초보가 나름대로의 생각을 털어놓은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김창선 해설위원의 생년이 75년생으로 되어 있는데 사실입니까?
전 그동안 김창선 해설위원을 형님이라고 생각했는데(전 71년 생입니다 ㅠ.ㅠ) 사실이라면 정말 충격입니다.(TV화면이 사람 나이들어 보이게 하는 건지 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thlonXP™
03/06/04 16:15
수정 아이콘
네~ 좋은 글이에요~
03/06/04 16:18
수정 아이콘
김창선 해설위원은 75년생입니다. 이글을 보게된다면 김창선 해설위원께서 쪼~~~끔 서운해 하실듯..^^;;
03/06/04 17:15
수정 아이콘
김창선씨가 그렇군요....다른 해설자분들은 나이가 어떻게 되나요??
03/06/04 17:29
수정 아이콘
공감은 갑니다. 경기를 보면서 저도 랜덤님처럼 좋게 생각을 할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인터뷰 내용을 보다보니 정말 화가났고 그 선수 관련글을 pgr21에 올렸습니다. 인터뷰 내용이 "농락모드라고 하는데 저는 농락모드가 아니라 안전모드 였어요.사람들이 농락한거라지만 절대 농락이 아니었어요.대선배이신 성춘이형이 사랑하는 후배를 위해 일부러 저준거에요."그러자 임선수 일부러 저준거라 말하자 "아주 멋진 정신이죠" 경기만을 보고 단정지어 비판하는게 아니었습니다.
물론 박선수가 일부러 그랬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어린선수니깐 한번쯤은 실수 할수 있는것이라며 감싸주는 것보단 박선수를 위해 비판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의건 타의건 분명 방송경기였으며 공중파 방송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전달되는 경기인데 심했던건 사실이고 이에대해 자신에게 쏟아지는 비판들이 힘들겠지만 꿋꿋히 견뎌 보다 좋은 모습으로 나와주길 바랍니다.
03/06/04 17:31
수정 아이콘
김창선 해설위원 75년생이었군요. 해설위원중에선 엄재경 해설위원이 가장 많아 보이시던데...다른분들도 무척 궁굼하네요.
몽땅패하는랜
03/06/04 17:42
수정 아이콘
이브님의 심정을 이해합니다. 만약 제가 임성춘 선수였다면 방송경기고 뭐고 마우스와 키보드가 날라다녔을겁니다^^;;;
이브님이 비판하시는 것 역시 저에겐 스타를 사랑하는 분의 한 모습을 보는 것 같아 기분이 좋습니다. 그렇죠 비판이든, 격려든 박태민 선수를 향한 애정의 한 갈래라고 저는 생각합니다.(짧은 답글에도 새어나가는 이 허접 ㅠ.ㅠ)
StimPack
03/06/04 19:30
수정 아이콘
좋은 글입니다. 감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진실을 냉정하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 실현화 하는 용기.

그건 그렇고... 해설자중 제일 좋아하는 김창선 해설위원이 저보다도 연하였음은... -_-;;;
SummiT[RevivaL]
03/06/04 19:41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 사건(?)에 대해서 글을 올려보려고 했지만....저의 주제를 제대로 표현 못하는...그런 글실력때문에....못올리고 있었는데...몽땅패하는랜덤님이....좋은 글로써 표현을 해주시니...저의 마음이 후련해지네요^^ 정말 좋은 글입니다....스타를 사랑하는....
Hewddink
03/06/05 15:14
수정 아이콘
엄재경 해설위원은 66년생. 김도형 해설위원은 73년생. 김창선 해설위원은 75년생. 정일훈 캐스터는 68년생. 전용준 캐스터는 72년생. 정소림 캐스터는 73년생으로 알고 있습니다.
온게임넷에서는 작년까지만 해도 김창선 해설위원이 막내로서 귀여움(?)을 독차지했지만 올해 김동수 해설위원(81년생)의 등장으로 그 자리에서 쫓겨나고 말았죠...^^;;;
MBC게임 캐스터. 해설자 분들은 잘 모르겠네요. 누구 아시는 분 없으세요? @_@
몽땅패하는랜
03/06/05 16:29
수정 아이콘
그, 그랬었군요. 충격입니다. 저는 전에는 엄재경님>김도형님>김창선님>정일훈님 서열인줄 알았는데(정일훈님은 샤프하고 챠밍한 젊은 캐스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현실은....저를 놀라게 만드는군요. 심지어 전용준 캐스터님 마저 연하라니...ㅠ,ㅠ. 어설픈 제 지식으로는 김동준님은 81년생으로 알고 있습니다. 휴딩크님에게 감사드립니다.
03/06/05 16:42
수정 아이콘
김철민 캐스터는 70년생, 이현주 캐스터는 73년생, 이승원 해설은 74년생, 김동준 해설은 81년생입니다. 대부분 엠비씨게임 홈페이지에 나와있지요^^
Hewddink
03/06/05 17:23
수정 아이콘
공룡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가 MBC게임 홈피를 잘 안 들어가다보니 그곳에 MBC게임 중계진 플필이 있는 줄 몰랐군요...-_-;;
랜덤님// 그 말씀 김도형님이나 김창선님. 특히 전용준님이 보시면 서운해 하십니다. ^_^ 저는 정일훈님이 엄재경님의 학교 후배라고 알고 있습니다.. 투니버스 PD중 한 분(아마도 황형준 PD로 추정됩니다만 확실하지 않아서...^^;;;)과 정일훈님이 스타크래프트라는걸 중계해보는건 어떠냐고 했고 마침 매니아셨던 정일훈님의 선배 엄재경님과 98년 챔.피.언.인 김도형님이 중계진에 합류하게 된거라 알고 있습니다.
이른바 엄.전.김 트리오의 전신인 엄.정.김 트리오의 탄생 ^ ^!!
몽땅패하는랜
03/06/05 22:44
수정 아이콘
너무 뒤늦은 댓글 같지만 마음이 불편해 덧붙입니다. 스타 해설자님들의 나이에 대한 제 질문에 답변을 주시는 과정에서, 그리고 오고 가는 말들중에(특히 제 발언 중에) 혹 당사자분들이나 다른 분들이 보시기에 불쾌하신 표현이 있으셨다면 죄송합니다. 다만, 저는 별다른 악의없이 생각보다 나이들이 젊다는 것에 대한 놀라움을 표현했을 뿐입니다. 그래도 도에 지나친 코멘트가 있다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삭하도록 하겠습니다. 행여 읽으시는 분들에게 불쾌감이 들었다면 재삼 사과드리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23 To be continued....? [6] Zard1800 03/06/05 1800
9822 이윤열 선수가 최고 연봉을 받을 것 같네요<ktf소식입니다> [16] 핸드폰3827 03/06/05 3827
9821 요즘 유행하는 대 태란전 플토의빌드. [14] GuiSin_TerraN1937 03/06/05 1937
9819 패자의 핸디캡에 대해서 [12] 김범수1719 03/06/05 1719
9818 [연재] 최면을 걸어요 (8) [10] 공룡1307 03/06/05 1307
9817 조정현 기욤선수의 부활 [5] 초보랜덤1899 03/06/05 1899
9816 2등보다는 1등이 더 힘든거 같네요... [6] tajoegg1475 03/06/05 1475
9815 대화의 방법에 관해서. [5] 안전제일1206 03/06/05 1206
9813 MBC 게임의 LOSERS 4강... [13] 윤문용1910 03/06/04 1910
9812 스타크래프트를 사랑한다는 것은? [13] 몽땅패하는랜1532 03/06/04 1532
9810 [연재] 최면을 걸어요 (7) [13] 공룡1268 03/06/04 1268
9809 itv랭킹진의 새로운 해설진에 대해서 [11] The_Pro]T[osS2169 03/06/04 2169
9808 여러분 이런 황당한 드랍 당해보셨습니까? [5] SummiT[RevivaL]2068 03/06/04 2068
9807 이윤열대 한웅렬.... [13] 드론찌개2209 03/06/04 2209
9806 콧물토스에 이어 콧물테란?? [15] 어딘데3261 03/06/04 3261
9805 부자구단 삼성의 FA 행보는? [5] 배강현1868 03/06/04 1868
9804 GO팀의 이주영선수 재영입... [10] 피팝현보2700 03/06/04 2700
9803 VOD 품질에 대한 개인적 생각;; [10] 비타민C1362 03/06/04 1362
9802 한웅렬 선수도 이적하는가? [10] Dabeeforever3170 03/06/03 3170
9801 [잡담]이윤열 선수의 재계약.. 이랬으면... [5] 윤문용1687 03/06/03 1687
9798 新라이벌 [21] 곽태근2849 03/06/03 2849
9797 KTF 온게임넷 프로리그 2라운드 진출팀 전력 분석(허접하지만...) [15] 임한국2388 03/06/03 2388
9796 [연재] 최면을 걸어요 (6) [9] 공룡1136 03/06/03 11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