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06 02:59
고구마는 조리법에 따라 GI가 확확 바뀝니다.
찐 고구마 44~61 → 낮음~중간 구운 고구마 ~85 이상 → 높음 ❗️ 튀긴 고구마 (감자튀김처럼) 더 높음
25/04/06 08:20
어느 정도는 조심해야겠지만, 너무 혈당혈당 하는 것도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찾아보니까 동물성 단백질도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 모양이던데, 몇 년 뒤 메타가 바뀌면 식품별 단백질 함량이 이야기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과식이랑 지나친 편식과 지나친 야식을 피하고,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당뇨 및 기타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데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뭐, 타고난 '체질'이라는 것도 있지만, 이건 바꿀 수 없으니까요. 누구나 아는 것이긴 하지만요.
25/04/06 08:59
예전에 분자생물학 원서를 구경한적 있는데, 페이지를 스르륵 넘기다가 보니 인슐린의 역할 중에 'protein syntesis'가 있더군요.
1) 당뇨환자 고기 많이 먹지 말라는 썰과 관계 있는 듯? 2) 약쟁이 보디빌더 중에 인슐린 투약하는 사람이 많다던데 이것 때문인 듯? 생물학에 대해 문외한인 문과 출신인데, 위와 같은 소박한(?) 생각이 들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