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4 08:30
애초에 한자가 음이 여러개인 경우가 있죠..
金 만 해도 쇠금, 성김 이고.. 更 도 고칠 경, 다시 갱 이죠.. 일본이 특히 한자 하나에 읽는 법이 다양한 건 맞긴 합니다 크크
25/04/24 08:37
슬램덩크에서 이를 이용한 개그컷이 나오죠 크크크크 한국어버전에서는 이걸 해석하는게 불가능하지만..
서태웅 본명인 루카와 카에데의 카에데는 다르게 읽으면 모미지라는 이름으로도 읽히는거라, 강백호가 모미지짱 이라면서 놀리는 컷들이 있는데, 이건 번역이..
+ 25/04/24 11:28
(수정됨) TMI지만 그 나가레카와라는게 히로시마의 번화가 지명인데 루카와라는 캐릭터의 이름 자체가 이 나가레카와에서 왔고 그래서 밑에 이름은 히로시마의 심볼인 단풍으로 한거라고 합니다.
25/04/24 08:38
이것도 골때리는거긴 합니다만, 같은 한자를 다르게 쓰는 것도 문제죠.
자주 보이는 성씨중 하나인 사이토가 대표적인 건데 齊藤의 齊가 이체자가 한 20개가 된다고..... 거래처에 사이토씨가 있으면 항상 주의해서 봅니다. 어떤 글자를 쓰는지
25/04/24 08:39
일본 한자의 뭣같은 점은 (특히나 이름에 쓸 경우) 지맘대로 발음을 갖다붙여도 된다는 점...위에 야가미 라이토 정도면 양반에 속하는 편이죠. 요즘은 너무 심해져서 현지에서도 불만이 많다곤 하던데...
25/04/24 09:03
특히 요즘 젊은 세대에서 그런 이름이 많더라고요. 그 부모 세대에서 아이들 이름을 그렇게 짓는게 엄청 유행이었다고 합니다.
이를테면 NPB 같은거 보면 신인급 선수들 이름 어떻게 읽어야 하나 난감할 때가 꽤 있습니다. 이건 심지어는 거기 리그 관계자들도 신인들 이름 읽기 빡세다 소리를 하고 있어서...
25/04/24 10:10
일본어의 저 점이 일본어를 배울 때 정말 환장하게 만들죠
물론 문법적으로 어려운 것들도 많습니다만 일단 저건 자국민조차 헷갈리는데 외국인이 배우려면 ㅠㅠ
25/04/24 10:12
라이토는 사실 작가가 일부러 없는 이름 (범죄자니까)을 억지로 읽게 만든 케이스인데, 너무 유명해져서 이상한 이름이 늘어나는 불상사가...
25/04/24 10:13
(수정됨) 음독 ,훈독의 차이에 하나더가 한자더 글자하나에 뜻 의미가 여러가지 있는경우가
허다해서 이죠 장(張)이 한자중 가장 뜻이 많아서 26가지인가 하죠 이러다 보니 훈독으로 쓰게되면 읽는 방법이 뜻마다 하나씩 늘어나는 꼴이라 일본어는 문자표기 방법의 영향까지 더해져서 가장 단어수가 많은 언어라는 평까지 듣고있죠 우리도 일본같은 식은 아니지만 세종대왕님이 한글 창제하면서 동국정운이라는 한자표기 방법을 하나로 통일하는 법전을 한글을 바탕으로 편찬해서 당시까지 여러방법이었던 한자발음을 글자 하나에 하나로 확실하게 통일했죠 덕분에 당시 목단(牧丹)하나만 해도 대여섯가지 였다는 읽는 방법이 목단 하나로 정립됬다고 하죠.
25/04/24 10:51
(수정됨) 이건 그래도 답이 간단합니다.
'금'이 아니라 '금성'이 성이기 때문에... 일본-대만 혼혈이라 일본에서는 '카네시로(金城) 타케시(武)'로 부릅니다.
+ 25/04/24 12:56
저도 독일어 처음 배우면서 명사에 성별이 있는게 진짜 희한하다고 생각을 했었어요.
명사에 성별이 있다는건 그 명사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다보니 그렇게 된 걸 수 있고 또 그런 언어가 여럿 있기도 하죠. 그런데 1인칭 대명사를 여러개 사용하기도 하고, 남녀를 구분하는건 주요 언어중 일본어밖에 없는 것 같아서요.
|